DOI QR코드

DOI QR Code

연안역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Actual Analysis and Solution of Aquatic Leisure Activity Safety Accident Around Coast

  • 정종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대학 해양체육학과)
  • Jeong Jong-Seok (Department of Maritime Physical Education, College of Maritime Ocean Sciences and Technology,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06.04.01

초록

다양화 개성화로 확산되고 있는 21세기 고도화된 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소득수준의 향상과 토요일 휴무제에 따른 여가활용 시간의 증대에 수반하여 수상레저활동의 인구가 증가한 동시에 그 내용은 매우 활동적이다. 종래 여가활동이라고 하면 정적인 옥내활동이 주류였으나, 현시점의 여가활동은 사회발전과 더불어 옥외활동, 나아가서는 스스로 활동하고 경험하는 쪽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상 레저는 안전한 수상활동으로 성취될 수 있는데, 수상레저활동의 급성장으로 인하여 수상안전사고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수상 레저기구 활동자의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종합적인 육성과 관리대책 마련하고자한 결론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해서는 소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안전검사 및 등록을 의무화하여 제도권에서 활동하도록 하여야하며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에 대한 피해보전을 위해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강력한 제도적 보완장치가 필요하다.

By becoming 21st century which run be charactered as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which spreads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there have been elevation of income level and increase of time for leisure activity by introducing 5 working days system. And this brings out increasing of aquatic leisure activity popul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leisure becomes very active. Static indoor activity which was the main current of the leisure activity in the past, however, it is now called for outdoor activity accompanied by the society growth and even expands towards that people get into action and experience by their own free will. With this point of view, the aquatic leisure run become a safe activity. But with a rapid growth of aquatic leisure activity, safety concerns become a serious problem. To prevent safety accident, training should be given, safety inspection and registration should be requested, and strong support of system is needed so users can have an insurance for safety accident. These complements are necessary for overall nourishment and management measure to charge in systematical safety for the us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관보(2005), 수상레저안전법개정법령. 제 15957호
  2. 김정훈, 국승기(2005), '수상레저안전법의 개정에 따른 관련규제에 관한 의식실태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9권 제10호, pp891-896 https://doi.org/10.5394/KINPR.2005.29.10.891
  3. 김학철(2004), '보트, 요트 컨설팅 가이드'. 부산: 파워마린
  4. 박봉률, 강진흥(2001). '해양스포츠 확성화 방안 연구: 거제시의 바다로 세계로 프로그램 중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6권 2호
  5. 박창호, 노흥승, 양희주(1998), '부산광역시 해양 워터프론트의 발전 및 보전'. 부산: 부산발전연구원
  6. 오정훈(2000),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 사회적 파급효과', 주간경제, 596호, LG경제연구원
  7. 양진우, 송교욱(1998), '부산시 생활환경의 쾌적성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 부산발전연구원
  8. 정종석(2004), '해양레저스포츠 발전을 위한 한국형 마리나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9. 하해동, 전승환, 정종석(2003), '수상레저안전법과 일반조종면허 1, 2급'. 부산: 해인출판사
  10. 해양경찰청(1999), 수상레저안전법, 제5910호
  11. 해양결찰청(2005), 수상레저활동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