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정보검색을 위한 질의어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neration of Query toy Korean Information Retrieval

  • 이덕남 (전주대학교 정보기술컴퓨터공학부) ;
  • 박인철 (호원대학교 컴퓨터게임학부)
  • 발행 : 2006.03.01

초록

현재 인터넷의 급속한 개발과 함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의 질의 성향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질 좋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한국어 질의어에 대해 형태소 분석과 구문 분석을 통한 키워드 사이에 의미 연관성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접근은 단순한 키워드나 키워드 사이에 단순한 조합 보다 의미 연관성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서 사용자들의 질의 성향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질의를 생성하고 현존하는 질의 형태에 대한 몇 가지 문제를 해결 수 있는 효율적인 한국어 정보검색을 위한 사용자 의도가 포함된 계층적 질의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t present age, great many informations ar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upply information of better quality to users depend on that grasp correctly user's query intention through internet along with fast development of internet.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 that generating meaning relation between keywords with that result by passing through morpheme analysis and syntactic analysis about Natural Language Query. This approach is implied more meaning relation than query by simple keyword or simple combination between keywords. Therefore, it is going to permit much more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because of solving problem about existent query form, and generating query that user's query intention is reflected more correct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