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the Type of Fine Aggregate on Concrete Properties

잔골재 종류가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Recently, interest grew on the quality of aggregates following the diminution of primary resources from river as to grow construction demand and the low grade of nature sand like sea sand. Following, need is to diversify the supply sources of fine aggregates which are excessively relying on sea sand and urgency is to find as soon as possible aggregate resources that can substitute sea sand. On the other hand, various fine aggregates are utilized to produce concrete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field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on the effects of such fine aggregates on concrete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mparatively widely used fine aggregate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fields on the quality of concre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uch fine aggregat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and strength of hardened concrete. Results revealed that crushed sand degraded the fluidity and air entraining of concrete compared to natural aggregates like sea sand and river sand. Especially, the use of crushed sand exhibiting bad grain shape and grade was larger adverse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The type of fine aggregates appeared to have negligible influence on the strength for W/C of 55%, 45% while crushed sand decreased the strength for W/C of 35% compared to natural aggregates. It analyzed that the combination of crushed sand exhibiting bad grain shape and grade with natural aggregates improved the characteristics of fresh concrete and had negligible influence on the strength.

최근 하천골재의 부존량 감소와 건설수요의 증가로 양질의 모래가 고갈되었고, 바닷모래와 같이 자연상태에서 얻을 수 있는 골재도 그 품질이 저급화되면서 골재의 품질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잔골재를 바닷모래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공급원의 편중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바닷모래를 대체할 수 있는 골재원을 하루빨리 발굴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 건설현장에는 다양한 잔골재가 콘크리트에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잔골재가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건설현장에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잔골재가 콘크리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목적으로 잔골재 종류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 및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순모래는 바닷모래 및 강모래와 같은 천연골재에 비해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공기 연행성을 저하시키거나 블리딩을 증가시키고, 특히 입도 입형이 불량한 부순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는 더욱 콘크리트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W/C 55%, 45%에서 잔골재 종류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으나, W/C 35%에서 부순모래는 천연골재에 비해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도 입형이 불량한 부순모래를 천연골재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강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골재수급기본계획(2004-2008), 한국레미콘공업협회지, 제77호, 2003. 10
  2. 최민수, 지역별 골재 소비 구조 분석 및 수급 안정 방안, 한국건설산업 연구원, 2003. 4. pp.3-20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콘크리트학회, 대체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고품질화 기술 개발, 건설교통부, 한국 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4. 8
  4. 한국콘크리트학회, 부순모래 및 부순모래 콘크리트, 기문당, 1998
  5. 이성복, 잔입자함유량 및 잔골재 입형 변화에 따른 부순 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6
  6. 대한주택공사, 삼표산업, 콘크리트용 부순모래의 설용화 방안 연구, 1996. 12
  7. 윤기원,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2
  8. 윤용호, 정용욱, 이승한, '부순모래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5권 2호, 2003. 11, pp.106- 111
  9. 박종호, 나철성, 조봉석, 최세전, 이성현, 김무한, '부순 모래를 대량 활용한 모르타르의 성능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7권 1 호, 2005. 5, pp.121-124
  10. 竹村和夫,阿部康倶,'碎沙を用いて微粉末を添加したコ ンクリートの強度と空気特性',セメント年報 No.38, 1984. pp.158-161
  11. 重倉佑光,高橋和雄,永野龍博,'細骨材の粒形および, 石粉がコンクリ-トの諸性狀におよぽす影響',セメント 年報 No.42, 1988. pp.84-87

Cited by

  1. Study on the Fluidity and Strength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tilizing Crushed Sand vol.6, pp.4, 2012, https://doi.org/10.1007/s40069-012-0020-1
  2. Influence of Fine Aggregate Properties on Unhardened Geopolymer Concrete vol.4, pp.2, 2016, https://doi.org/10.14190/JRCR.2016.4.2.101
  3. Influence of Low-Quality Aggregate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vol.4, pp.2, 2016, https://doi.org/10.14190/JRCR.2016.4.2.187
  4. Effects of Low-quality Aggregates in the Same Workability Condition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vol.4, pp.3, 2016, https://doi.org/10.14190/JRCR.2016.4.3.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