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7 Genotypes of Group A Rotavirus Isolated from Infants and Toddlers with Rotavirus Gastroenteritis in Jeju

제주지역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로부터 분리한 A군 로타바이러스의 VP7 Genotypes에 대한 연구

  • Kang, Ki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Cheju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Kyung-Sue (Department of Pediatrics, Cheju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ui, Xiu J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eju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Wonyong (Department of Microbiology,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강기수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경수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
  • 김원용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Received : 2006.07.31
  • Accepted : 2006.08.26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Purpose: Efficacy of the new rotavirus vaccines ($Rotarix^{(R)}$, $RotaTeq^{(R)}$) recently developed can be affected by the rotavirus genotypes prevalent in communiti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cent distribution of rotavirus genotypes prevalent in Jeju. Methods: Genotyping of human rotaviruses was performed using 81 samples collected from 154 inpatients and outpatients with rotavirus gastroenteritis at Ch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2005 and June 2006. All six (1, 2, 3, 4, 8, 9) G serotypes were identified by amplification of segments of the gene for VP7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reaction (RT-PCR). Results: The results of RT-PCR for 81 samples were all positive. G typing of the VP7 protein showed that G1 was the most dominant circulating genotype (65.5%) followed by G2 (14.8%), G3 (13.6%), G8 (1.2%), G9 (1.2%), G4 (0%), and a combination of G1/G3 (3.7%). Conclusion: This distribution of rotavirus VP7 genotypes in Jeju is different from that in other domestic areas; the most dominant circulating genotype was G1.

목 적: 최근 새로이 개발된 두 개의 백신(Rotarix, RotaTeq)의 효능은 지역사회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저자는 제주지역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7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급성 설사로 제주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 또는 입원하여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진단 받았던 154명 중 81명에서 대변 검체를 수집하였다. 대변 검체에서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중합효소 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여 로타바이러스 VP7 genes을 증폭하였으며 여섯개(1, 2, 3, 4, 8, 9)의 G 유전형을 확인하였다. 결 과: 역전사-중합효소 반응을 시행한 81개의 대변 검체에서 모두 VP7유전자가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들 검체에서 VP 7 단백의 유전형을 보면 G1이 53예(6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G2 12예(14.8%), G3 11예(13.6%), G8 1예(1.2%), G9 1예(1.2%), G4 0예(0%) 그리고 G1/G3 혼합형이 3예(3.7%)로 나타났다. 결 론: 제주 지역의 로타바이러스 VP7 genotypes의 분포는 국내의 다른 지역들과 달랐으며, G1 유전형이 가장 흔하게 검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