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linical Manifestation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Children with Henoch-Schönlein Purpura

소아 Henoch-Schönlein Purpura 환아에서 위장관 증상 유무에 따른 임상 소견에 대한 연구

  • Oh, Se-Whung (Department of Pediatr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e, Jae-H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ng-Joo (Department of Pediatr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오세웅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재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용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6.07.31
  • Accepted : 2006.08.31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factors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course and outcome in patients of Henoch-Sch${\ddot{o}}$nlein Purpur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4 children diagnosed with Henoch-Sch${\ddot{o}}$nlein Purpura (HSP) from January 1996 to April 2006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GI) symptoms and those without GI symptoms. When there were joint, scrotum, and renal symptoms except for skin lesion in whole HSP, those patients were excluded. The history of acute infection, duration of admission, treatment requirement, recurrence of HSP, CBC, stool occult blood test, abdominal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GI endoscopic findings were reviewed. Results: Among 104 patients, patients with GI symptoms included 66 cases (63.5%), those without GI symptoms accounted for 38 cases (36.5%). GI symptoms included: abdominal pain in 57 cases (54.8%), vomiting 21 cases (20.2%), GI bleeding 5 cases (4.8%), nausea 3 cases (2.9%) and diarrhea 3 case (2.9%). Positive GI symptoms and GI mucosal lesions on GI endosco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creased admission duration, treatment requirement, recurrence of HSP, and positive stool occult blood. Six cases with small intestinal wall thickening were noted on abdominal ultrasonography. Six cases of hemorrhagic gastritis and hemorrhagic duodenitis, 3 cases of duodenal ulcer, 3 cases of hemorrhagic gastritis and duodenal ulcer, 2 cases of hemorrhagic duodenitis and colitis, and 1 case of colitis were noted on GI endoscop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 endoscopic examination may be helpful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HSP.

목 적: HS 자반증 환아에서 선행 질환, 위장관 증상 유무, 그리고 검사 소견의 차이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2006년 4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HS 자반증 환아 중 피부 증상 외 다른 증상 없이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환아와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지 않은 환아 104명을 대상으로 급성 감염 병력, 입원 기간, 치료,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고, 말초 혈액 검사, 대변 잠혈 반응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HS 자반증 환아 104명 중 위장관 증상이 있는 환아는 66명(63.5%)이었고, 위장관 증상이 없는 환아는 38명(36.5%)이었다. 위장관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6~10세 연령군이 가장 많았고, 위장관 증상이 있는 군에서는 남아가 더 많았으나 위장관 증상이 없는 군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위장관 증상으로는 복통 57명(54.8%), 구토 21명(20.2%), 혈변 5명(4.8%), 설사 3명(2.9%), 오심 3명(2.9%)으로 복통이 가장 많았다. 또한 위장관 증상이 하나인 경우가 46명(44.2%)이었고, 2개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20명(19.2%)이었다. 위장관 증상이 많은 환아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군에서 입원 기간이 길었으며, 스테로이드 치료 시행 예와 질병의 재발이 더 많았고, 대변 잠혈 반응 검사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p<0.05). 재발 환자와 재발하지 않은 환자와의 비교에서는 통계학적 의의가 관찰되지 않았다. 87명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6명(6.9%)에서 소장벽이 두꺼워진 소견이 관찰되었다. 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병변의 양상에 따른 빈도는 급성 출혈성 위염과 급성 출혈성 십이지장염 6명(40.0%), 십이지장 궤양 3명(20.0%), 급성 출혈성 위염과 십이지장 궤양 3명(20.0%), 십이지장염과 출혈성 대장염 2명(13.3%), 출혈성 대장염 1명(6.7%) 순으로 관찰되었고, 급성 출혈성 위염과 급성 출혈성 십이지장염이 동반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치료는 30명(28.8%)에서 시행되었고, 재발은 6명(5.7%)에서 관찰되었으나 모두 1회였고, 추적 관찰이 되지 않은 3명을 제외하고는 치료한 환아와 치료하지 않은 환아 모두 증상이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HS 자반증 환아에서 적극적인 위장관 점막병변에 대한 검토가 잘 이루어질 경우 환아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