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ameter Calibration of Storage Function Model and Flood Forecasting (2) Comparative Study on the Flood Forecasting Methods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보정과 홍수예측 (2) 홍수예측방법의 비교 연구

  • 김범준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송재현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김형수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홍일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Received : 2005.08.30
  • Accepted : 2005.11.11
  • Published : 2006.01.31

Abstract

The flood control offices of main rivers have used a storage function model to forecast flood stage in Korea and studies of flood forecasting actively have been done even now. On this account, the storage function model, which is used in flood control office, regression model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re applied into flood forecasting of study watershed in this paper. The result obtained by each method are analyzed for the comparative study. In case of storage function model, this paper uses the representative parameters of the flood control offices and the optimized parameters. Regression coefficients are obtain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neural network is trained by backpropagation algorithm after selecting four events between 1995 to 2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optimized parameters are superior to the representative parameters for flood forecasting. The results obtained by multiple, robu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e of the regression methods, show very good forecasts. Although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shows less exact results than the regression model, it can be efficient way to produce a good forecasts.

홍수를 예측하기 위해서 국내 5대강 유역의 홍수통제소는 저류함수모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홍수예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홍수통제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저류함수모형과 과거의 강우-수위 관계를 이용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그리고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홍수를 예측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저류함수모형의 경우는 홍수통제소의 대표매개변수와 보정된 최적(평균)매개변수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과 인공신경망은 1995~2001년까지의 홍수사상 중 4개의 홍수사상을 선택하여 회귀계수를 구하고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학습을 시켰다. 그 결과 저류함수모형의 경우 최적 매개변수를 이용하였을 때 기존의 홍수통제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표매개변수보다 예측이 개선되었으며, 회귀분석의 방법인 다중회귀분석, Robust 회귀분석, Stepwise 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예측은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한 인공신경망의 경우도 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예측보다는 다소 못하였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3) 용담댐 및 미호천에 대한 금강홍수예경보 시스템 개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건설교통부(2004) 금강홍수예경보. 급강홍수톨제소
  3. 건설교통부(2005) 홍수예보모형의 성능평가 및 개선 연구 (1차)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홍종선, 박옥희, 최창현(1997) 조사방법과 통계자료분석. 전영사
  5. 강두섭, 강남준(2000)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나남출판
  6. 송재현, 김형수, 홍일표, 김상욱(2005)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보정과 홍수예측 (1) 보정 방법론과 모의 홍수수문곡선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본 논제
  7. 윤강훈, 신현민(1994) 한강인도교 수위와 영향인자간의 다중회귀 분석에 의한 홍수위 예측모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7권, 제3호, pp. 55-69
  8. 손민우, 이길성(2003) 신경망이론과 회귀분석을 통한 홍수위 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호, pp.147-155
  9. 안상진, 전계원(2004)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홍수유출 예측시스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지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771-780
  10. 김진훈, 윤원진, 배덕효(2005) 단기 예측강우를 활용한 실시간유량 예측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11-23
  11. 안상진, 최병만, 연인성, 곽현구(2005) 미계측 지점에서의 유출모의 및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6호, pp 485-494
  12. Lattin, J., Douglas Carroll, J. and Green, P.E. (2003) Analyzing Multivariate Date. Thomson Brooks
  13. Phien, H. and Anh Kha, N.D (2003) Flood forecasting for upper reach of the Red River Basin. North Vietnam, Water SA, Vol. 29, No.3, pp. 267-272
  14. Hus, K.L., Gupta, H.V. and Sorooshian, S. (1995)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pp. 2517-2530
  15. Thirumalaiah, K. (1998) River stage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SC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3, No. 1, pp. 26-32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8)3:1(26)
  16. Robert, J.M., Victoria, A.B. and David, A.J. (2005) Forecasting for flood waming. C. R. Geoscience, Vol. 337, pp. 203-217 https://doi.org/10.1016/j.crte.2004.1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