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ainfall Forecasting Using Satellite Information and Integrated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II): Application and Analysis

위성정보에 의한 강우예측과 홍수유출 및 범람 연계 해석 (II): 적용 및 분석

  • 최혁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6.02.07
  • Accepted : 2006.08.31
  • Published : 2006.11.29

Abstract

In this study(II), The developed rainfall forecast model was applied to the NakDong River Basin for the heavy rainfall on 6th to 16th of August in 2002.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ainfall forecasts of 3 hours lead time showed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data. The inundation aspect of simulation depends on actual levee failure in the same basin. Rainfall forecasts were used for flood amount computation in the target watershed. Also the flood amount in the target watershed was used on boundary condition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in a protected lowland and a river. The results of simulation are consistent with actuality inundation traces and flood level data of the target watershed.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applicability of satellite data in rainfall forecast of extreme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 or typhoon. Also this study presented an advanced integrated model of rainfall,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which can be applicable for flood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본 연구(II)에서는 2002년 8월 집중호우시 낙동강 유역에 대하여 강우예측 신경망 모형을 적용하였다. 예측된 3시간 선행 강우량은 실제 관측된 강우량의 패턴을 잘 따르고 있었으며,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선행시간을 감안하면 강우예측의 정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유역의 실제 제방붕괴에 따른 범랑양상을 모의하였다. 이때 예측된 강우량 자료는 유역에서의 홍수량 산정을 위한 기본자료로 이용되었으며, 유역에서의 홍수량은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홍수범람 모의를 위한 경계조건으로 이용되었다. 모의결과는 실제 범람흔적과 하천에서의 홍수위 자료와 비교하여 잘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집중호우나 태풍과 같은 이상강우의 강우예측에 대한 인공위성 자료의 실질적인 활용성을 제공하였으며, 위성자료를 이용한 강우예측 기법과 연계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홍수유출 및 홍수범람 모형의 개발을 통합함으로써 홍수재해에서의 강우, 유출, 범람에 대한 체계적인 실무적용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3) 낙동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III)
  2. 한건연(2002) 낙동강 유역의 '02년 8월 홍수피해 및 제방붕괴 현장조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50권 제9호
  3. 한국수자원공사(2002a) 2002년 전국홍수조사보고서
  4. 한국수자원학회(2002) 2002년 홍수피해 종합조사보고서
  5.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2003) 2002年 災害白書
  6.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2002a) 2002년 태풍 루사 패해 현장 조사보고서
  7.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2002b) 2002년 호우피해 현장조사 보고서
  8. Fletcher, D.S. and Goss, E. (1993) Forecasting with neural networks: an application using bankruptcy data. Information & Management, Vol. 24, pp. 159-167 https://doi.org/10.1016/0378-7206(93)90064-Z
  9. French, M.N., Krajewski, W.F., and Cuykendall, R.R. (1992) Rainfall forecasting in space and time using a neural network. Journal of Hydrology, Vol. 137, pp. 1-31 https://doi.org/10.1016/0022-1694(92)90046-X
  10. French, M.N., Andrieu, H., and Krajewski, W.F. (1994a) A model for real-time quantitative rainfall forecasting using remote sensing: 1. Formul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4, pp. 1075-1083 https://doi.org/10.1029/93WR03249
  11. French, M.N., Andrieu, H., and Krajewski, W.F. (1994b) A model for real-time quantitative rainfall forecasting using remote sensing: 2. Case Studi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4, pp. 1085-1097 https://doi.org/10.1029/93WR03250
  12. Levizzani, V., Prcu, F., Marzano, S., Mugnai, M., Smith, E.A., and Pordi, F. (1996) Investigating a SSM/I microwave algorithm to calibrate Meteosat infrared instantaneous rainrate estimat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 pp. 5-17
  13. Negri, A.J. and Adler, R.F., and Wetzel, P.J. (1984) Rain estimation from satellites: an examination of the griffith-woodley technique. Journal of Climate & Applied Meteorology, Vol. 26, pp. 1565-1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