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관리주체의 다양화에 따른 학점인정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riteria for the Academic Credit Approval of Diversified Qualifications - Focusing on Delphi Survey -

  • 신명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격연구본부) ;
  • 박종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격연구본부)
  • Shin Myong-Ho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Park Jong-S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발행 : 2006.03.01

초록

이 연구는 그 동안 시행되어왔던 국가자격 학점인정 기준과 더불어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점인정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합리적이고 타당한 학점인정 기준을 수립하고자 하며, 자격을 통해 인정받을 수 있는 학점인정 상한선 제도 도입과 학점 은행제의 직무체계를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자격의 과다 학점인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점인정 개선 기준은 전문가를 활용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학위수준별 최대 인정 가능 자격의 수를 제한, 동일 직무분야의 능력에 대해서는 최상위 자격만 인정, 자격별 동일 시험과목이 있을 경우 중복 시험과목당 학점 감산제를 통해 두개 이상 자격 취득시 동일 시험과목을 중복하여 학점을 인정받지 못하도록 하였다. 둘째, 기존 자격분류체제로는 늘어나는 자격의 적절한 분류가 어려워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KRIVET 자격분류표를 기준으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한 신규 자격분류체제를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design and suggest criteria of the academic credit approval for those who obtain diverse qualif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based on the argument that existing credit approval system covering all qualifications requires improvement especially due to limited function and efficiency. First, most respondents who took part in the management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ed that the current system is of limitation. Out of the all items, one was indicated as one not directly related the majoring area for the degree, three items were indicated as approved in the bachelor degree and two items were as approved in the associate degree. Second, occupational area for approving qualification item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RIVET classification structure for national qualif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신일 외(1996). 학점은행제 도입 및 실시방안. 교육부 중앙교육심의회 평생교육분과위원회
  2. 신명훈, 박종성(2003).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점인정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신명훈, 박종성, 유지윤(2004). 자격관리주체의 다양화에 따른 학점인정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한국교육개발원
  4. 이동임,김덕기,김상호(2003). 자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중앙고용정보관리소(2000). 취업알선코드 설명집. 중앙고용정보관리소
  6. 한국노동연구원(2000). 고용직업분류. 한국노동연구원
  7. 한국교육개발원(2004a). 자격학점인정기준 협의자료(1). 내부자료
  8. 한국교육개발원(2004b). 자격학점인정기준 협의자료(2). 내부자료
  9. 한국교육개발원(2002). 국가자격 학점인정기준. 한국교육개발원
  10. 한국산업 인력공단(2002). 2002 WIC-OES 직업분류. 한국산업 인력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