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두만강 하류 사구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NUE) ;
  • Kim Nam-Shin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Lee Gwang-Ryul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Han 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MA) ;
  • Jin, Shizhu (Department of Geography, Yanbian University)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이광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한욱 (육군사관학교 환경학과) ;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geomorphological process of the sand dune landform including the distribution and surface environments,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origins and moving processes in lower reach and mouth delta of Duman River, Northeast Korea and China.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cludes image analysis of Landsat TM(1992.10) and ETM(2000.9) and Spot(2005.4) for analysis of land cover, 2 times field survey for recognition of landform and acquisition of sediments raw data materials, and grain analysis and exoscopy about raw data materials. The geomorphic elements from satellite image analysis are composed of the delta, sand spit, active and stable dune, sand bar and riparian vegetated zone. Results of the grain analysis indicate the sediments originated from marine coastal zone than riverine one. This means that present sand dune not so much reflect present climatic and geomorphic environments. Result of the exoscopy analysis show that ratio of quartz, which is comparatively resistant to environment, is highest as $65{\sim}83%$ out of sediments. But the surface of the $30{\sim}40%$ of mineral grains was coated by yellow-colored stained materials, due to chemical weathering. Some grains show rough skin, looking as acicular, network structure and etching pits, affected by physical and chemical weathering.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지역에 대규모로 발달한 사구 지형의 분포 및 지표 환경, 퇴적물의 특성, 기원 및 형성과정을 밝히고, 두만강 하류 일대의 하천 및 해안 환경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Spot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을 분석하고, 2회의 현지 야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도분석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사구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에서 파악된 사질퇴적지형 요소들은 삼각주, 사취, 이동사구, 정착사구, 사주, 사주피복 수변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사구 퇴적물에 대한 입도 분석 결과, 조사 지역 중 가장 상류 쪽에 해당하는 DM3과 DM4에서 하성보다는 해성 모래와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사구를 이루는 모래의 입도 특성이 두만강 하류 지역의 현재 자연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미경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풍화에 가장 강한 석영의 비율이 $65{\sim}83%$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30{\sim}40%$를 차지하는 광물 입자의 표면은 화학적 풍화를 받아 황색의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며, 물리 화학적 풍화에 의한 바늘 및 그물 모양의 거친 표면 형태와 에칭 피트가 나타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인문화사, 1997, (最近)北韓 五萬分之一地形圖(上), 경인문화사
  2. 국립지리원.대한지리학회, 2000, 한국의 지도, 국립지리원
  3. 권혁재, 2003, 한국지리, 법문사
  4.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5. 박경, 손일, 장은미, 2004, '제주 김녕-월정 사구의 발달과정에 관하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51-864
  6.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2001, 북한 개방지역에 관한 연구-나진-선봉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7. 서종철, 2003,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67-681
  8. 안재섭, 2004, '두만강 하류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핫산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38(2), 155-165
  9.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2002, '나진-선봉 경제 무역지대의 입지 특성과 지역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7(4), 293-316
  10. 이민부.김남신.강철성.신근하.최한성.한욱, 2003,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 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2), 630-639
  11. 조성권.이철우.손영관.황인걸, 1995, 퇴적학, 우성
  12. 한국과학재단, 1999, 두만강(도문강)유역 토지자원 종합평가-수출자유지역단지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재단
  13. Jensen, J.R., 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rentice Hall
  14. Kim, S-J, 1993, Geo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 Publishing House, Pyongyang
  15. Mainguet, M., 1994, Desertification, Springer-Verlag
  16. Pye, K. and Tsoar, H., 1990, Aeolian sand and sand dunes, Unwin Hyman
  17. Taylor, G. and Eggleton R.A., 2001, Regolith Geology and Geomorphology,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