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Geographic and Geologic Centers in South Ko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남한의 지리 및 지질 중심에 관한 연구

  • Cheong, Won-Seok (Department of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Jae-Ho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ang, Yong-Sock (Department of Information Industry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Na, Ki-Chang (Department of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정원석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황재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정보연구센터) ;
  • 강용석 (충북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 나기창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Because there is no generally accepted definition of a geographic center and no completely satisfactory method to determine one, there may be as many geographic centers of a country as there are many definitions. The geographic center of an area may be defined as the center of gravity on a surface, or that point on which the surface of an area would balance if it were a plane of uniform thickness. This research us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alysis and there are places where it defines the geographical and the geological centers in the inland of South Korea. To compute the geo-centers in South Korea: 1) firstly, we collected existing reaserch data related to digital map data. 2)Secondly, we analyzed a geological center and data collection examples of Korea and other nations-the Europe and America. 3) Thirdly, we carried out numerous processes to build a geodatabase, short for geograhic database, so that GIS analysis and the constructed geodatabase is covered within the inland in South Korea. Where geodatabase is a kind of spatial database. 4) Fourthly, in order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center, we supposed that the condition of continental surface is the plane of homogeneous or irregular density. 5) Consequently, we chose a few resonable conditions and produced a variety of geographical centers that is geometric and gravitational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enter points are massed to southern part of Chungbuk province, Korea.

지리 중심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립된 정의와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지리 중심을 산출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지표면은 굴곡이 심하고 다양한 암상으로 구성되어 밀도 분포가 매우 불균질하고 그 경계 또한 불규칙한 굴곡이기 때문에 중심점을 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한 지역에 중심의 정의와 산출 방식에 따라서 여러 중심점이 존재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정보 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남한 내륙의 지리적, 지질학적 중심지를 정확히 밝히고 학술적으로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된 사료 수집은 물론 자료 처리를 위한 수치 지형도, 수치 지질도 등의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지질 및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으로 한국에서 적용된 사례 및 외국의 적용 사례를 파악하고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지리 정보 시스템의 분석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이 분석 방법이 얼마나 타당한 분석 방법인지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중심을 구하기 위해 적용된 조건은 지각이 등밀도 평면일 경우와 암상에 따라 불균질한 평면일 경우로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남한 내륙의 무게 중심점 및 기하학적인 중심점은 매우 다양하게 산출되었다. 그 결과 단순 남한 내륙의 해안선 경계를 이용한 여러 중심점들은 대체적으로 충청북도 남부에 밀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학, 황재하, 박기화, 송교영, 1998, 1:250,000 부산 지 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2 p
  2. 김정찬, 고희재, 이승렬, 이창범, 최성자, 박기화, 2001, 1:250,000 강릉-속초 지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6 p
  3. 김창환, 2002, 국토정중앙지점 확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111-114
  4.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1986,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서울, 772 p
  5.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997, 1:250,000 광주 지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 자원연구소, 83 p
  6. 이병주, 김유봉, 이승렬, 김정찬, 강필종, 최현일, 진명식, 1999, 1:250,000 서울-남천점 지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6 p
  7. 이병주, 김동학, 최현일, 기원서, 박기화, 1996, 1:250,000 대전 지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58 p
  8. 이석우, 2005, 한반도 '배꼽' 여기요 여기...3파전. 조선일보 2005년 12월 23일자 기사, 조선일보
  9. 최범영, 황재하, 고희재, 이병주, 김정찬, 최현일, 기원서, 김유봉, 송교영, 최영섭, 2002, 1:250,000 목포-여수 지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5 p
  10. 최위찬, 김규봉, 홍승호, 이병주, 황재하, 박기화, 황상기, 최범영, 송교영, 진명식, 1995, 1:1,000,000 지질도. 한국자원연구소
  11. 황재하, 김동학, 조등룡, 송교영, 1996, 1:250,000 안동 지질도 및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소, 67 p
  12. ESRI, 2005, Geoprocessing Commands Quick Reference. ArcGIS9 Guide book, 81 p
  13. People's Daily, 2000, China's Geographical Center Marked. September 14th, 2000 internet newspaper, People's daily (Unpublished web page; http://english.people.com.cn/ english/200009/13/eng20000913_50419.html)
  14. Telford, W. M., Geldart, L. P., sheriff, R. E., and Keys, D. A., 1990, Applied Geophysic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0 p
  15.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USGS), 1995, Elevation and Distance in the United States, 1-15
  16. U.S. Census Bureau, 2001, Centers of Population Computation for 1950, 1960, 1970, 1980 1990 and 2000, U.S. Department of Commerce, Bureau of the Census, Washington, DC, 1-6
  17. Wikipedia, 2005, Geographical Centre of Europe. Wikipedia Encyclopedia (Unpublished web page; http://en.wikipedia. org/wiki/Geographical_centre_of_Eur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