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기온과 강수량의 기후 변동 특성

Climatologic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 발행 : 2006.04.28

초록

1924년부터 2004년까지 제주관측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의 기온과 강수량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난 81년 동안 연평균 기온은 $0.02^{\circ}C/year$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1980년 이후에는 $0.05^{\circ}C/year$로 이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최저기온의 증가가 최고기온 증가보다 크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최저기온의 상승이 평균기온의 상승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기온과 강수의 특이기후 발생빈도 또한 조사하였다. 최고기온 특이값 빈도에 대한 기온편차는 지구온난화경향과 더불어 1980년대에 증가하였으며, 최저기온 특이값은 여름과 겨울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 호우일수의 빈도는 증가하여 강수강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were investigated using data observed in Jeju station for from 1924 to 2004. Annual mean temperature change for the last 81 years is $0.02^{\circ}C$ increase per year. After 1980, the increase is $0.05^{\circ}C$ per year, larger than the former. The increase of the minimum temperature is larger than that of the maximum temperature in Jeju and ha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The frequency of climate extreme occurrence of temperature and rainfall was also investigated. The temporal variation of frequency of the extremely higher temperature has increased in the 1980's with global warming. The appearance of the extremely lower minimum temperature has decreased during the summers and winters. The facts that the frequencies of rainy days has decreased and heavy rainfall days of more than 80 mm per day in precipitation has increased indicate the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용균, 노재식, 1985, 과거 30년간 (1954-1983) 한국 기온의 연변화 및 연별 변동. 한국기상학회지, 21(3), 1-10
  2. 기상연구소, 2002,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 441 p
  3. 기상연구소, 2004a,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II). 510 p
  4. 기상연구소, 2004b, 한국의 기후. 기상청 기상연구소, 417 p
  5. 양성기, 김해동, 최찬문, 1995, 제주도 함덕연안해역의 해황 . 기상의 계절변동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해양연보, 19, 1-10
  6. 이명인, 1995, 한반도 기온변동성과 온난화.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4 p
  7. 이명인, 강인식, 1997, 한반도 기온 변동성과 온난화. 한국기상학회지, 33(3), 429-443
  8. 이승호, 권원태, 2004,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9(6), 819-832
  9. 이윤주, 2000, 제주도 해안 지역의 기온분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0 p
  10. 이종범, 1978, 서울지방의 기온 경년변화와 그 요인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14(1), 29-35
  11. 정용승, 윤마병, 1999, 한국의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된 요소들. 한국기상학회지, 35(3), 309-318
  12. 하주영, 1998, 한반도의 기후변동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9 p
  13. Bell, G. D., M. S. Halpert, C. F. Ropelewski, V. E. Kosky, A. V. Douglas, R. C. Schnell and M. E. Gelman, 1999, Climate Assessment for 1998.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5), 1040-1088 https://doi.org/10.1175/1520-0477(1999)080<1040:CAF>2.0.CO;2
  14. ICPP,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Houghton and Ding (Eds.), Cambridge Press, 881 p
  15. Jones, P. D., T. M. L. wigley and G. Farmer, 1991, Marine and land temperature data set: a comparison and look at recent trends. in Schlessinger, M. E. ed. Greenhousegas-induced Climatic Change: A Critical Appraisal of Simulation and Observations. Elsevier, Amsterdam, 153-172
  16. Karl, T. R., W. K. Richard, R. E. David and G. Q. Robert, 1996, Climate Assessment for 1995. Indices of Climate Change for the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2), 292-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