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sons for Career Indecisiveness,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aptation Using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이유, 진로성숙도와 대학적응

  • Baik Jee-Sook (Dept. of Child Studi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by using the quadrants formed by the decidedness and comfort scal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aptation using that typology. We gathered data from a total of 789(237 male, 552 female) students from a middle-sized university in Jollanam-do completed a Career Decision Profile(CDP), a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and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We found that 29.5% of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decided-comfortable, 36.4% were decided-uncomfortable, 6.9% were undecided-comfortable, and 27.3% were undecided-uncomfortable. ANOVA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s dimension of COP,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aptation as a function of career decision status categories. In general, decided-comfortabl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cores while undecided-uncomfortable students showed the lowest scores in all scales. Only in the Career Choice Importance scale did undecided-comfortable students showed the lowest scores.

Keywords

References

  1. 고려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2003). 신입생실태조사 2003. 서울: 고려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2. 고향자(1992). 한국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남홍(2001).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 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5. 김은희(2000). 진로교육프로그햄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진로 생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지순(2000). 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5, 88-107
  7. 김지영(2001). 진로의사결정 상담 프로그햄이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김현옥(1989). 청소년의 진로생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형균(2002).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배종훈(2001). 진로미결정 유형별 진로결정 요인과 성격 특성의 차이.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백지숙(2000).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 대학 적응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18(1), 127-137
  12. 백지숙(2005). 인터넷 게임동기 유형에 따른 대학적응과 인터넷 게 임중독. 한국아동학회지, 26(1), 31-46
  13. 백지숙 . 도현심 . 박성연(1998). 한국청소년후기개체화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89-102
  14.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2000). 2000학년도 학생생활연구소 활동보고. 학생 연구, 34(1)
  15. 순천향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7). 대학생 진로의식 비교 분석. 학생생활연구 5, 71-113
  16. 신재식(2003). 진로상담프로그햄이 일반계 여고생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양문혜(2002). 담임교사가 실시하는 진로탐색프로그햄이 진로 성숙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연세대학교 학생상담소(2001). 2001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세상담연구, 17
  19. 원광대학교 학생상담센터(2000). 2000학년도 신입생의 특성 연구
  20. 이기학 . 김명원(1998).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9, 277-298
  21. 이연미(2002). 대학생의 진로발달 유형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장애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옥란(2004).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 의사결정 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전주대학교 상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근(1988). 진로지도의 체. 서울: 성원사
  24. 이혜성 . 홍혜경(1998).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10(1), 143-166
  25.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2000). 학생상담센터 활동보고. 학생생활연구, 34
  26. 정명숙(2002). 진로의사결정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존 감과 불안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장선철(2003). 대학쟁의 진로결정 유형화와 개인 • 인지 변인 과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조준환(2004) 학급단위 진로의사결정 프로그햄이 공업계 남자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최진승 . 손종식(1994). 상업고등학생의 자기규제 학습수준과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학생 연구, 22, 5-38
  30. 충남대학교 학생취업 및 생활지원센터(2004). 2003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보고서. 학생생활연구, 30, 89-124
  31. 허자영(1996). 대학생 진로유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홍혜경(1997).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3. Baker, R. W. & Siryk, B.(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34. Cohen, C. R. K Chartrand, J. M. & Jowdy, D. P.(1995).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subtypes and ego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440-447 https://doi.org/10.1037/0022-0167.42.4.440
  35. Crites, J. O.(1969). Vocational psycJwlogy: The study of voca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36. Crites, J. O.(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Inquiry Series, Monograph No.2, Washington, D.C. : APGA
  37. Crites, J. O.(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di handbook. Monterey, CA: CBT/fvkGraw-Hill
  38. Fugua, D. R., Blum, C. R. & Hartman, B. W.(1988). Empirical suppor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areer indecision.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6, 365-373
  39. Gordon, V. N.(1995). The undecided college student. Illinois: Thomas Books
  40. Jones, L. K.(1977).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41. Jones, L. K(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tns: A revi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the career decision profi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477-486 https://doi.org/10.1037/0022-0167.36.4.477
  42. Jones, L. K. & Chenery, M. E.(1980). Multiple subtypes among vocationally undecided college students: A model and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 469-477 https://doi.org/10.1037/0022-0167.27.5.469
  43. Larson, L. M, Heppner, P. P., Ham, T. & Dugan, K.(1988). Investigating multiple subtypes of career indecision through duster analysis. Joum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 439-446 https://doi.org/10.1037/0022-0167.35.4.439
  44. Lunneborg, P. W.(1976). Vocational indecision in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3, 402-404 https://doi.org/10.1037/0022-0167.23.4.402
  45. Osipow, S. H, Carney, C. G., Winer, J. L., Yanico, B. & Koschier, M.(1976). The career decision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46. Savickas, M. L. & Jarjoura, D.(1991). The career decision scale as a type indicat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85-90 https://doi.org/10.1037/0022-0167.38.1.85
  47. Slaney, R.R.(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Career decision making(pp. 32-72). Hillsdale, NJ: Erlbaum
  48. Swanson, J. L. & Woitke, M. B.(l991).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431-450
  49.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50. Wanberg, C. R. & Muchinsky, P. M.(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71-80 https://doi.org/10.1037/0022-0167.39.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