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지역에서 소백산육괴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f Sobaegsan Massif in Giseong-myeon area,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남훈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Kang Ji-Hoo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ong Yong-S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e-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6.01

초록

변형된 주요 암석구조의 운동학적 기하학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울진군 기성면지역에 분포하는 소백산육괴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원남층, 평해 화강편마암, 하다 우백질화강편마암)에 대한 변형작용사를 연구하였고, 기존의 연구결과와 이번에 새롭게 밝혀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천전단대의 연장성과 각 변형단계의 상대적인 발생시기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기성면지역의 지질구조는 편마면 내지 편리가 형성된 이후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첫 번째 변형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 환경에서 발생하여 북북서 방향의 광역엽리와 매우 밀착된 등사습곡을 형성시켰다. 첫 번째 변형 이전의 편마면 내지 편리의 일반적인 방향성은 동북동이었으며 등사습곡작용에 의해 대부분이 북북서 방향으로 재배열되었다. (2) 두 번째 변형은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응력하에서 동북동 방향의 광역엽리와 밀착, 등사, 뿌리 없는 층간습곡을 형성시켰다(발생시기: 장군봉지역 평안층군의 동수곡층이 퇴적된 페름기 이후). (3) 세 번째 변형은 우수향 주향이동 연성전단운동에 의해 발생하여 광역 엽리면상에 동북동 방향의 신장선구조와 S-C 압쇄구조를 형성시켰다(상운면지역 중생대 각섬석 화강암이 관입된 이후 -장군봉지역 중생대 춘양화강암이 관입되기 이전). (4) 네 번째 변형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 환경에서 발생하여 (북)북서 방향의 개방습곡을 형성시켰으며, (5) 다섯 번째 변형은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 환경에서 발생하여 북북동 방향과 북북서 방향의 공역성 주향이동 단층과 동서 방향의 충상단층 그리고 이들 단층운동에 수반된 끌림습곡을 형성시켰다. 경상분지의 형성 및 발달과 관련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변형구조는 백악기 지구조운동의 결과로 형성되었으며, 이들 변형작용은 광역엽리의 일반적인 동북동 방향성을 부분적으로 재배열시켰다. 동-서 방향의 예천전단대는 연구지역으로 연장되나 연성전단 변형구조는 미약하게 발달한다.

This study clarifies the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f Sobaegsan Massif (Wonnam Formation, Pyeonghae granite gneiss, Hada leucogranite gneiss) in Giseong-myeon area, Uljin-gun, Korea. It is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develop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It also reviews the extension of Yecheon Shear Zone and the relative occurrence time of each deformation phase from previous researches. It suggest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 was formed at least through five phases of deformation after formation of their gneissosity or schistosity. (1) The first phase of deformation took placed under compression of ENE-WSW direction, forming NNW trending regional foliation and very tight isoclinal fold. The general trend of gneissosity or schistosity is inferred to be ENE before the first phase of deformation, being rearranged into NNW by the isoclinal folding. (2) The second phase of deformation formed ENE trending regional foliation and tight, isoclinal, rootless intrafolial folds under compression of NNW-SSE direction [occurrence time: after deposition (Permian age) of Dongsugok Formation, Pyeongan Croup, Janggunbong area]. (3) The third phase of deformation occurred by dextral ductile shearing on the regional foliation, forming stretching lineation of ENE trend and S-C mylonitic structure (after intrusion of Hesozoic homblende granite, Sangunmyeon area-before intrusion of Mesozoic Chunyang granite, Janggunbong area). (4) The fourth phase occurred under (E)NE-(W)SW compression, forming (N)NW trending open fold. (5) The fifth phase took place under N-S compression, forming NNE and NNW trending conjugate strike-slip faults, E-W trending thrust-slip faults, and drag folds related to these fault movements. The deformed structures of fourth and fifth phases result from tectonic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developing of the Gyeongsang Basin in Cretaceous age, and it partially rearranged the general ENE trend of the regional foliation in the study area. It also suggests that the Yecheon Shear Zone of E-W trending extends into this area but the ductile shear deformation is weakly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훈, 김형식, 오세봉, 1997,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 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 -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 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암석학회지, 6, 244- 259
  2. 강지훈, 오세봉, 김형식, 1998, 장군봉지역 북부 소백산육 괴의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에 대한 변형작용과 변성작용 사이의 상대적인 시간관계. 암석학회지, 7, 190-206
  3. 강지훈, 2000, 안동저반 북서부에 발달하는 예천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2000년도 학술 답사 안내서, 37-55
  4. 강지훈, 김형식, 2000, 봉화군 상운면지역에서 북부 소백산 육괴의 지질구조 해석. 암석학회지, 9, 254-270
  5. 강지훈, 김남훈, 박계헌, 송용선, 옥수석, 2004, 영양-울진지 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암석학회지, 13, 179-190
  6. 김옥준, 홍만섭, 원종관,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1963, 한 국지질도(1:50,000) 평해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p
  7. 이현구, 박노영, 이마이나오야, 1992, 장군 광산 주변의 지 질과 변성 작용. 이석 남기상선생 논문집, 21-44
  8. 황재하, 1994, 백악기초 이후 한반도 남동부에 작용한 고 응력 복원. 지질학회지, 30, 27-34
  9. Chang, T.W., 1991, On the microstructures of mylonitic rocks -with special reference to Yecheon shear zon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177-190
  10. Choi, P.-Y., 1998, Tectonic evolution of SE Korea since the Early Cretaceous. In Tectonic Evolution of East Asia: the first joint meeting of Japanese and Korean structure and tectonic group (eds. Koh, H.J. and Lee, B.J.), 113-121
  11. Choi, P.-Y., Lee, S.R., Choi, H.I., Hwang, J.H., Kwon, S.K., Ko, I.S., and An, G.O., 2002, Movement history of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91-102 https://doi.org/10.1007/BF03028280
  12. Hilde, T.W.C., Uyeda, S. and Kroenke, L., 1977, Evolution of western Pacific and its margin. Tectonophysics, 38, 145-165 https://doi.org/10.1016/0040-1951(77)90205-0
  13. KIGAM, 1995,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