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차미경, '인터넷을 활용한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2권. 제1호 (2001,6) pp.157-170
- 연구자가 연구기간 동안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 방문자 회수를 확인하였다
- 조찬식, 한혜영.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6권, 제1호(2005,6), p.135
- 이란주, 윤소정, '도서관 홈페이지 설계에 관한 연구-인터페이스와 정보자료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2권, 제4호,(1998.12),PP.141-157.연구결과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 단순한 시스템 사용에 대한 피드백외에 전자적 참고봉사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에 대한 도움말을 제시하고, 자관의 정보자료개발 정책에 기초를 두고 흠페이지를 구축할 것과 정보이용안내와 교윽을 제공 할 것 등이라 밝히고 있다
- 정부현. '인터넷 웹사이트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0.2
- 최상기,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7권, 제4호(2000.12), pp.137-155. 이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설계지침으로 신착자료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부여하고, 도서관 소식을 알리는 기능인 게시판, 공지시항 등을 중복되지 않게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 조찬식,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웹페이지 콘텐츠 분석.' 한국비블리아 제12권 제2호 (2001. 12), pp.105-124
- 성기문, '정보제공 웹사이트 평가모형 개발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2
- 정진한, '대학도서관 웹페이지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2
- 문형남, '웹사이트 평가 모델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8권, 제2호(2001. 6), pp.31-56
- 한국전산원, 공공기관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지침서. 한국전산원, 2002
- 이명희, 이상렬, '국가대표전자도서관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 일본, 미국의 의회도서관을 중심으로', 국회도서관보, 제39권, 제3호(2002.5.6) pp.3-21
- 정진한, 박일종, '평가기준에 따른 대학도서관 웹페이지의 구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9권, 제1호(2002.3), pp.163-187
- 조사대상 도서관인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상위 메뉴들이다. 이 부분은 도서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황정숙,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 이용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2
- 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조성사업', 2003, P.11
- 김영기, '디지털자료실 구축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3권, 제3호(2002.9). pp.161-163
- 송지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05.2. p.18
- 정주연,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현 단계: 인천지역 6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2. p.80
- 송지은,'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현 단계: 인천지역 6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2. p.45
- 문화관광부, '공공도서관 디지털 구축사업,' 2002. pp.4-3. (4. 추진사업에서 3쪽임)
- 앞의 '정보자원' 항목에서 검토된 내용이다. 각 도서관이 일상생활관련 개별 정보를 수집하기는 어렵지만 정보원의 조사만 이루어지면 관련 웹사이트의 연결로 단순하지만 정보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 이용훈, '우리나라 도서관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도서관 제 55권, 제4호(2000. 가을), p.18
- 지역생산정보는 그 지역의 정부기관, 교육기관, 사회봉사기관, 클럽 및 사회단체, 개인이 생산하는 정보이다. 공공도서관에서 이를 수집, 정리하여 별도의 파일을 구축, 유지하고 이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이 파일을 이용하여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지역생산정보봉사이다. 공공정보는 공공정책의 결정에 대한 시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제공하는 정보이다. 이 설명은 다음의 자료에서 발췌한 것이다. 차미경, '인터넷을 활용한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2권. 제1호 (2001,6) p.160
- 정현태,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l호(2003,3), pp.77-98
- 정현태,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2003,3), pp.88-89
- 문화관광부, '공공도서관 디지털 구축사업,' 2002. pp.4-3.(3. 선진사례 분석)
-
해당 도서관의 웹사이트를 참조.
-Databases Options/ www.chipub.org Inernet Resources -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연감.' 2005. p.549
- 정현태,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2003,3), p.95
- 다음의 두 논문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주제별게이트웨이 구축사례를 외국의 대학도서관과 국내 대학도서관의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미화, '주제게이트웨이(Subject Gateway)구축사례,' 사대도협회지, 제4집, pp.141-159.오선경, '디지털 게이트웨이 기능의 분석: 국내 국립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2003.3),PP.37-58.공공도서관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국내의 많은 대학도서관에서 주제별 게이트웨이를 구축하고 e-journal,e-book, 학술DB, 참고정보원. CD-Net 등에 대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각 자료에 대하여 가나다순리스트, 주제별리스트, 제공업체별리스트, 수록DB별리스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