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에 관한 연구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Halophytes in Mankyeong River Estuary

  • Kim Chang-Hwan (Departmen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Iksan National College) ;
  • Cho Du-Su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Graduate School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Kyeong-Bo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Choi Song-Yuel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발행 : 2006.09.01

초록

만경강 하구역 염습지에 우점 분포하는 5종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에 대하여 유묘 출현율, 생물량, 뿌리 줄기길이생장, 교차이식 생존율, 토양환경 요인 등을 2005년 2월에서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유묘 출현 시기는 칠면초가 가장 빨랐으며 그다음으로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개미취, 나문재 순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의 수분상태와 염도에 따른 발아율은 칠면초가 침수구 상태의 고온과 저염도에서, 퉁퉁마디가 고염도에서, 가는갯능쟁이와 갯개미취가 건조구와 침수구에서, 나문재가 건조상태의 고염도에서도 발아가 잘 되었다. 5종 염생식물의 교차이식 생존율은 저위염습지에 칠면초, 중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가는갯능쟁이, 갯개미취, 고위염습지에 나문재가 높았다. 토양환경요인은 비슷하였으나 토성은 점토, 모래, 미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5종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은 칠면초는 저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가는갯능쟁이 그리고 갯개미취는 중위염습지에, 나문재는 고위염습지에 분포하여 이루어진다고 여겨진다.

The germination period, the germination under different salin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condition, the survival percent several halophytes in cross-transplanting experiment of marsh type and the soil environment factor of five dominant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the halophytes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n the salt marsh of Mankyeong river estuary from February to October 2005. In terms of germination, Suaeda japonica appeared first followed by Aster tyipolium Salicornia herbacda, Atriplex gmelini and Suaeda asparagoides. The germination percent on the humidify conditions and saline concentrations of halophytes were that Suaeda japonica germinated well under inundation conditions, high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Salicornia herbacda under high salinity; Aster tripolium and Atriplex gmelini under dry or inundation conditions, and Suaeda aspar agoides under dry conditions and high salinity. The survival percent in cross-transplanting experiment of five halophytes were high with Suaeda japonica in the low marsh; Salicornia herbacda, Aster tripolium and Atriplex gmelini in the mid marsh, Suaeda asparagoides in the high marsh. The soil properties were similar for the five halophytes, but soil texture appeared high in order of silt, sand and cla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five halphytes. Suaeda iaponica was distributed in the low tidal marsh, Salicornia herbacda, Aster tripolium, Atriplex gmelini in the mid tidal marsh and Suaeda asparagoides in the high tidal marsh.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준민, 장남기, 이성규, 우택균(1975) 인천 남동 해안에 있어서 간사지 토양의 염도 구배와 식물 구배와 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김준민박사 회갑기념논문집, 150-157pp
  2. 김준호, 민병미(1983) 해안 염생식물군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ll. 인천 간척지의 토양환경. 종의 다양성 및 염류순환에 대하여. 한국식물학회지 26(2): 53-72
  3. 김준호, 오계칠(1982) 한국 서해안 간석지 생태계의 조성과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소
  4. 김철수(1971) 간척지 식물군락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한식지 14: 129-134
  5. 김철수, 송태곤(1983a) 해변 염생식물 군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6: 167-176
  6. 김철수,송태곤(1983b) 해변 염생식물 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I). 영산호 담수화로 인한 간척지내의 토양과 염생 식물의 변화. 목포대학 논문집 5: 471-483
  7. 김칠수, 임병선(1988) 한국 서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생태지 11: 175-192
  8. 민병미(1985) 한국 서해안 간척지의 토양과 식생변화.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인근(1970) 주안 해안의 염생식물 군락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만우(2001) 서해안 염습지의 토양환경 구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분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쪽
  11. 오계칠, 이근식(1989) 인천 소래 간식지내 두 개의 칠변초 개체군락의 차이에 대하여. 한생태지 12: 133-144
  12. 이우철, 김상근, 김준민(1982)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보고서, 6-13pp
  13. 이점숙(1989)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 구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이점숙, 임병선, 이승호(2002) 시간경과에 따른 서해안 간석지의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5. 임병선, 이점숙(1986) 염습지 환경변화에 대한 퉁퉁마디와 칠면초의 적응. 한국생태학회지 4:15-25
  16. 임병선(1987) 해안간석지 토양환경에 따른 식물의 분포와 생장. 연안생물연구 4: 71-79
  17. 임병선(1989) 토양의 수분 포텐셜과 식물의 삼투조절능에 의한 해안식물군락의 분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임병선, 이기철, 이점숙, 서도성, 윤성명, 성치남, 양성렬 (1998) 서남해안 갯벌생태계보고서. 환경부 221pp
  19. 최홍근, 김호준(1998) 시화호내 염생식물분포에 관한 연구. 아주자연과학지 3권 1호
  20. 홍순우, 하영칠, 최영길(1970) 고염도 토양에 있어서 몇가지 염생식물의 생태에 대하여. 한국식물학회지 13: 25-32
  21. 홍원식(1956) 한국 서해안 해변 식물 군락의 연구. I. 생물학회보 1: 17-24
  22. Adams, D.A.(1963) Factors influencing vascular plants zonation in North Carolina salt marshes. Ecology 44: 445-456 https://doi.org/10.2307/1932523
  23. Beeftink, W.G.(1977) The coastal salt marshes of Western and Northern Europe:An ecological and phytosociological approach. In;Ecosystems ofthe World I. Beeftink, W.G.(ed.), Elsevier Sci. Co., New York
  24. Buttery, B.R. and J. M. Lambert.(1965) Competition between Glyceria maxima and Phragmites communis in the region of Surlingham Broad, I. The competition mechanism. J. Ecol. 53: 163-181 https://doi.org/10.2307/2257575
  25. Chaman, J.V.(1960) Salt marshes and salt desert of the world. Leonard Hill books. Ltd. London, 392pp
  26. Crude, R. W.( 1974) The adaptive nature of seed germination in Nemophila menziesii AGGR. Ecology 55: 1295-1305 https://doi.org/10.2307/1935457
  27. Eillers, H.P.(1975) Plant communities, net production and tide levels:the ecological biogeography of the Nehalem salt marshes. Tillamook County, Oregon. Ph.D. Dissert., Oregon State Univ. Corvallis, OR
  28. Grace, J.G. and R.G. Wetzel(1981) Habitat partitioning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in Cattails(Typha) experimental field studies. Amer. Nat. 118: 463-474 https://doi.org/10.1086/283841
  29. Fisher, R.A. and R.E. MilIes(1973) The role of spatial pattern in the competition between corp plants and weeds. A theoretical analysis. Math. Bio. Sci. 18; 311-350 https://doi.org/10.1016/0025-5564(73)90007-2
  30. Harper, J.L.(l977) The population biology of plants. Academic Press, London, 684-694pp
  31. Mark, R.N. and J.L. Harper.(1977) Interference in dune annulas, spatial pattern and neighbourhood. J. Ecol. 65: 345-363 https://doi.org/10.2307/2259487
  32. Miller, W.B. and F.E. Egler.(1950) Vegetation on the Ezudenquockpawcatuck tidal marshes Connecticut. Ecol. Monogr 20: 143-172 https://doi.org/10.2307/1943548
  33. Misra, R.D.(1938) Edaphic factors in the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in the English lakes. J. Ecol. 38: 441-451
  34. Odum, E.P.(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2: 262-270
  35. Ranwell, D.S.(1972) Ecology of salt marsh sand dune. Chapman and Hall, London, 258pp
  36. Ross, M.A and J.L. Harper.(1972) Occupation of biological source during seedling establishment. J. Ecol. 60: 77-88 https://doi.org/10.2307/2258041
  37. Rozema, J.(1975) The influence of salinity inund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some halophytes and non-halophytes. Oecologia Plantarum 10: 341-353
  38. Snow, J.A. and S.W. Vince.(1984) Plant zonation in an Alaskan salt marsh. II.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role of edaphic conditions, J. Ecol. 71: 669-684
  39. Vince, S.W., I. Valiela and J.M. Teal.(1981)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tructure ofherbivour insect communities in a salt marsh. Ecology 62: 1662-1678 https://doi.org/10.2307/1941520
  40. Waisel, Y.(1972) Biology of Halophytes. Academic Press, New York, 395pp
  41. Walter, H.(1968) Die Vegatation der erde in Okologischer Betrachtung. Band I. Fisher verlag, Jena.(refer to Champman,1977)
  42. Wilson, S.D. and P.A Keddy.(1985) Plant zonation of a shoreline gradient;physiological responses curves of component species. J. Ecol. 73: 851-860 https://doi.org/10.2307/2260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