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Channels of Training for Beauty Counsellors in Charge of Door-to-Door Cosmetics Sales

방문판매 화장품 뷰티카운셀러들의 교육경로와 실태에 관한 연구

  • 황혜주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 ;
  • 임진숙 (대구보건대학 뷰티코디네이션과)
  • Published : 2007.10.28

Abstract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ideas about specialty and general job satisfaction among beauty counsellors in charge of door-to-door sales and at considering current channels of practical education concerning products for beauty counsellors, its actual conditions, and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sales in order to help cultivate a competitive beauty counsellor for the future. To find out general properties of subjects, both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And in order to examine counsellors' understanding of channels and realities of their education and their working conditions, educational contents on practices, and educational methods and need,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can know as follows that beauty counselling in charge of cosmetics sales is a profession to need expertise and so no.

본 연구는 방문판매를 담당하는 뷰티카운셀러들을 대상으로 직업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사고를 파악하고, 뷰티카운셀러들의 제품에 대한 실무 교육 경로와 실태, 매출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경쟁력 있는 뷰티카운셀러를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화장품 카운슬러들의 근무현황과 카운슬러의 교육경로 및 실태, 카운슬러 실무에 관한 교육내용, 그리고 카운슬러의 교육방법 및 필요성에 대한 카운슬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화장품 판매를 위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뷰티카운셀러가 필요한 것 등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