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Resilience of Maltreated Children

보호요인이 피학대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especially focused on what direct effect of the risk factor(child maltreatment) and protective factors to child resilience, and how protective factors affect the resilience of maltreated child. In the concrete,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whether protective factors mediate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resilience. This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and subjects consisted of 2,844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test the proposed models, the Mplus-structural equation modeling-was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child maltreatment increased, resilience decreased. Second, when protective factors increased, resilience increased. Third, protective factors act as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on resilience by mediation. Results indicated that child maltreatment related negatively to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positively to resilience. In addition, a mediational model in which protective factors mediates child maltreatment and resilience was supported. In conclusion,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the maltreated children were discussed.

아동학대는 그 자체로 아동의 전반적 발달에 영향을 주며,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동학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학대의 부정적 결과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아동학대를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적응유연 한 아동들을 설명하는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대경험에도 불구하고 유능함을 보이는 아동의 특성, 즉 보호요인에 초점을 두고 보호요인이 어떻게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2004년에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동시에 고려하고 측정오차를 포함하여 분석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인 Mplu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위험요인인 학대는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보호요인은 적응유연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위험요인이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매개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피학대아동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개입전략을 살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