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Dong-rae Pajeon' (Local Food in Busan)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 Kim, Sang-Ae (Dept. of Food and Nutrition, Silla University) ;
  • Shin, Eun-Soo (Dept. of Food and Nutrition, Silla University)
  • 김상애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신은수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refined taste of ancestor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bout traditional cooking method and ingredient for the purpose of enriching today#s dietary life and to hand down a particular style of regional dish and excellence of nutritional aspect by providing a standard recipe and nutrition analysis data on #Dong-rae Pajeon#. To collect data about traditional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 researcher interviewed seven local natives who have kept a traditional food costumes, visited four restaurants, and reviewed ten cookbooks. The interviewees recalled and demonstrated the cooking procedure. The standard recipe of #Dong-rae Pajeon# was created after three experimental cookings, based on the recipes of the natives, restaurants, and cookbooks. According to the natives# statements, #Dong-rae Pajeon# was a special dish that was offered to the king at #Samzi-nal# (March 3rd of the lunar calendar). It was also a seasonal (before cherry blooming time) and memorial service dish of the province#s high society. The main ingredients were small green onion, dropwort, beef, seafood (large clam, mussel, clam meat, oyster, shrimp, fresh water conch), waxy rice powder, non-wax rice powder, and sesame oil which were abundant in Busan and Kijang region. Energy per 100 g of #Dong-rae Pajeon# was 148 kcal. Protein, lipid, fiber, Ca, and Fe contents were 8.8 g, 2.0 g, 8.6 g, 57.7 mg, and 1.8 mg respectively. Contents of cystine, lysine, leucine, valine, isoleucine which are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 in #Dong-rae Pajeon#. Fatty acids contents are oleic acid (20.5%), linoleic acid (20.1%) and linolenic acid (10.4%) while P/M/S ratio was 0.73/0.67/1.

동래파전의 유래에 대한 문헌이 없어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례연구에 의하면 조선조에서 삼짇날 임금님께 진상한 음식(동래할매파전 옥호의 주인의 구술)인 상류층 음식으로, 벚꽃 피기전의 초봄의 계절음식 및 재실음식(이씨 및 왕씨 부부, 추씨 등의 민간구술)으로 이루어졌고 이로써 부산 향토음식임이 입증되었다. 동래파전의 식재료는 조선쪽파, 미나리, 해산물(대합, 홍합, 조갯살, 굴, 새우, 논고동), 쇠고기, 계란, 찹쌀 및 멥쌀가루, 맛국물(멸치, 다시마 국물)등이며, 이들 식재료를 조리 순서대로 얹어 참기름으로 구워낸 것으로 5가지 기초 식품군이 골고루 배합된 음식이다. 동래파전의 표준화에서 맛에 관련된 인자는 식재료 인자와 열원인자를 들 수 있다. 식재료 인자 중 찹쌀 및 멥쌀 가루에 멸치와 다시마의 국물을 섞은 반죽에서 쌀가루의 전분과 파가 어우러져 파전에 깊은 맛을 주고, 맛국물은 구수한 맛과 칼슘을 공급하여 파전에 맛과 영양의 상승효과를 주고 있으며, 참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의 공급과 함께 파전에 유지맛과 고소한 맛을 주고 있다. 또한 조리 시, 강한 열원에서 번철을 달구어 식재료를 순서대로 얹어 뒤집고, 다시 반죽을 얹어 뚜껑을 덮은 후 열원을 약하게 하여 쌀 전분의 완전호화를 도와 파전의 깊은 맛을 배가시킨다 동래파전의 100g 당 에너지는 148 kcal, 단백질 8.8 g, 지방 2 g, 식이섬유 8.6 g, 칼슘 57.7 mg, 철분이 1.8 mg이었으며 1인분(245 g)당 에너지는 364 kcal, 단백질은 21.6g, 칼슘은 141 mg, 철분은 4.4 mg으로, 철분과 단백질의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시스틴, 리신, 루이신, 발린, 이소루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의 조성이 균형된 음식이다. 구성 지방산 중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함량이 각각 20.5%, 20.1%, 10.4%로 불포화지방산이 58.3%이었으며 P/M/S가 0.73/0.67/1이었다. 동래파전의 섭취 증가를 위하여서는 자주 먹을 수 있는 일상의 음식으로, 또 저 연령층의 섭취확대를 위한 급식메뉴로, 그리고 때와 장소의 구애 없이 간편히 이용할 수 있고, 우리국민은 물론 외국인의 입맛을 공략할 수 있는 조리방법 개발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향토적 동래파전의 식재료 종류와 분량, 조리법에만 중점을 둔 조리표준화를 행하였으나 향후의 연구는 동래파전의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고 연령층 등 각 연령층이 선호할 수 있는 우리전통음식인 동래파전 패스트푸드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SA, Kwon SJ. 2004.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native local foods in Gyeongsangnamdo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05-411 https://doi.org/10.3746/jkfn.2004.33.2.405
  2. 전병률. 2006.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Nutrition and Dietetics 282: 10-13
  3. Lee YJ, Choi SK.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native foods in Gyeongju area.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7: 157-174
  4. Lee YJ, Hwa MO, Choi SK. 2006. A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Ulsa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446-455
  5. Ko BS, Kan SW. 2004.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regional food in Daegu a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0: 15-30
  6. Choi SK, Lee YJ, Park SS. 2004. A verification study on strengthening of recognition of native cuisine. Korean J Food Culture 19: 285-294
  7. Yang HS, Rho JO. 2005.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by university students in Chonbuk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 49-58
  8. Choo JJ, Shin MK, Kwon KS, Yoon GS. 1998.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local foods of Cheollabuk-do province (The first repor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630-641
  9. Choo JJ, Shin MK, Kwon KS, Yoon GS. 2001.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local foods of Cheollabuk-do province (The second repor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250-258
  10. Kim SA. 2002.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Aguyjjim (local food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142-1149 https://doi.org/10.3746/jkfn.2002.31.6.1142
  11. Kim JS, Kim SA. 2007. A study on excavation and transmiss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Namhae region -recipes and nutrients of various fish soup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 47-58
  12. 한복려. 1990. 한국음식. 중앙일보사, 서울. p 29
  13. 김경옥. 1992. 한국요리. 정우문화사, 서울. p 129
  14. 황혜성. 1995. 궁중요리.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 122-123
  15.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1992.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서울. p 362-363
  16. 오명희. 1994. 경남향토음식. 경상남도 농촌진흥원. p 260
  17. 강인희. 1992. 한국인의 보양식. 대한교과서(주), 서울. p 136
  18. 장선용. 1994.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 이화여자대학출판부, 서울. p 76
  19. 한복진. 1999. 팔도음식. 대원사, 서울. p 105
  20. 정순자. 1993. 한국요리. 신광출판사, 서울. p 85
  21. 윤서석. 1998. 한국음식. 수학사, 서울. p 298
  2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334, 777-784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4. 최해군. 1985. 부산포 제1부. 지평사, 부산. p 84-86
  25. Kang YS, Lee YS. 2003. Study on preference and food science for advanced intake of vegetable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Korean Community Nutrition Symposium 2003. p 108
  26. Lyu ES, Jeong DK. 2005. Assessment of sensory and safety evaluation of cook/chill paje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74-680 https://doi.org/10.3746/jkfn.2005.34.5.674
  2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CAN Pro 3.0

Cited by

  1. Constitution of Formal and Informal Meals Consisting of Traditional Local Foods in Busan, Korea vol.41, pp.10,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10.1467
  2. 향토음식 연구경향 분석 - 국내 식품영양학분야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vol.32, pp.2, 2007, https://doi.org/10.7318/kjfc/2017.32.2.075
  3.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한국음식의 선호도와 인지도 분석 vol.35, pp.6, 2007, https://doi.org/10.7318/kjfc/2020.35.6.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