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Exploring the Direction of Woman Engineering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Learner's Recognition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통한 여성 공학교육 방향 탐색 사례 연구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ing the direction of woman engineering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learner's recogn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woman engineering education, the literature reviews we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and in the viewpoint of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survey results such as the learner's experience recogni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y were discussed by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engineering. From the analysis result of 399 students(man:206, woman:193) in P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an and woman to the factors of (a) understanding, (b) satisfaction, (c) motivation, (d) learning ability, (e) parents' expectation, (f) pleasure in the study, and (g) expectation grade. This study was suggesting the recommendations of woman engineering education in the viewpoints of cognition, emotion, motivation, environment and instructional strategy. The research results will show the cu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women in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정보화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 참여와 인적 개발은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필수 요건이 되었다. 최근 공학계열에서도 꾸준히 여성 인력이 늘어나고 있으며, 여성들의 특성인 섬세함과 정확성은 공학인으로 성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공학교육에서 여성을 위한 제도나 환경적 배려가 없는 실정이며, 여성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체계적 연구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인식 분석을 바탕으로 여성공학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 공학교육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적 맥락 관점과 교수학습 방법적 관점에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공학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과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한 여학생 공학교육의 현황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권고사항들을 제안하였다. 399명(남: 206명, 여: 193명)의 P 대학 학습자 인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a)교과이론 이해도, (b)만족도, (c)동기, (d)학습 능력, (e)부모 기대, (f)수업 즐거움, (g)교과 성적 기대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권고사항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동기적 영역, 교수학습 전략 및 환경 제도 개선 영역의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여성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삼근 (2000). 정보화 시대 고등교육기관 여성의 직업설계 능력개발의 필요성 분석. 인력개발연구, 2(1), 153-171
  2. 김지현, 오명숙, 정윤경 (2007). 현장 적응력 향상을 위한 여성 공학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재단 연구보고서
  3. 김정식 (2003). 일본에서 공학교육의 의미와 최근 공학교육정책의 변화. 공학교육, 11(1), 47-53
  4. 나일주 역 (1991). 인재육성의 아이디어: 퍼포먼스 문제의 분석. 서울: 양서원
  5. 나일주, 정인성 (1994). 교육공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6. 민무숙 (2003). 여성 공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의 과제. 공학교육과 기술, 10(1), 98-102
  7. 박도순.홍후조 (1999). 교육과정과 평가. 서울: 문음사
  8. 배재호 (2004). 우라나라 여성과 공학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11(2), 115-121
  9. 신군자 (2001). 21세기 여성상 및 여성교육의 방향. 교육사회학, 11(1), 97-119
  10. 신선미, 김남희 (2006).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연구보고서-5
  11. 윤대희, 한경희(2003). 공학분야 여학생 교육의 현황과 과제. 공학교육과 기술, 10(4), 77-82
  12. 이경우(2004). 이공계 대학 교육혁신 방안. 한국과학재단
  13. 이미정(1997). 인적자본으로서 여성교육의 의미. 한국인구학회, 20(2), 135-159
  14. 이병기, 조벽(1998). 미국의 공학교육 인증 평가. 공학교육과 기술, 5(3), 49-56
  15. 정해숙, 정경아(2003). 여교사의 성인지적 교육활동 능력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003 연구보고서 220-13
  16. 조벽(2003). 미국 공학교육의 변화 방향: ABET EC2000이 양성한 색다른 엔지니어. 공학교육, 10(2), 72-84
  17.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0). 인증정책 및 절차 규정. ABEEK -N-2000-1
  18. Bowen, W. C., & Finegan, A. T. (2003). The economic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Cain, G. G. (1996). Married women in the labor force: An econiomic analysis.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Duffy, T. M., & Jonassen, D. H. (1991). Constructivism: ne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May, 7-12
  21. England, P., & Farkas, G. (1986). Households, employment, and gender: A social, economic, and demographic view. New York: Aldine
  22.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23. Jonassen, D. (1991). Objectivism versus constructivism: Do we need a new philosophical paradig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39(3), 5-14
  24.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pp, 383-433).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Kolb, D. A. (1976) Management and learning proces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18, 21-3l https://doi.org/10.2307/41164649
  26. McIwee, J., & Robinson, J. (1992). Women in engineering: Gender, power, and workplace cultur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7. Mills, J., & Ayre, M. (2003). Implementing an inclusive curriculum for women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 Practice, 129(4), 203-210 https://doi.org/10.1061/(ASCE)1052-3928(2003)129:4(203)
  28. Oppenheimer, V. K. (1969). The female labor force in the United States: Demographic and economic factors governing its growth and changing composition. Berkel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29. Ruggie, M. (1984). The state and working women: A comparative study of britain and swede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Selby, C. C.(Ed.) (2000). Wo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Choices for success. New York: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31. Shirley, D. (1999). Women in Engineering: Focus on Success. The Bridge, 29(2), 7-14
  32.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3. Steady, F. C., & Toure, R. (1995). Women and the united nations. Cambridge: Schenkman Book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