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Discriminant Models for Subway Inner Noise

지하철 차내 소음 판별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지하철 5호선을 중심으로 -

  • 김태호 (한양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
  • 도화용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원제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윤상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research has defined the factors of noise in cars during subway train services, which is surfacing as a new environmental trouble. It shows additional accomplishment of a discerning analysis on the standard of noise regulation as well as its seriousness.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Regulations for Noise and Vibration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its standard noise regulation figure 70dB, we divided two groups of which train noise figures are over and under 70dB respectively, and used their 359 results about noise, geometric structures and operation elements,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following. First of all, when we discern the seriousness of noise in a train, the track type has mattered in geometric structure and the velocity in operation elements. Therefore, when we construct subway from now on, we should take the track type in consideration and establish plans to keep proper speed in respect of operation. Secondly, the established discernment model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making alternative plans or improvement of subway trains hereafter, showing relatively high accuracy of estimation. Consequently, the readjustment of geometric structure and operation elements is needed, not to make it over the regulation standard of noise in case the noise in train is serious. The discriminant model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elementary material for comfortable and safe subway trains, making the estimation of noise seriousness possible.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환경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지하철 운행시 차내소음 문제해결을 위해서 차내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환경부 소음 규제 진동법 시행규칙에서 규정된 철도소음 규제값(70dB)을 기준으로 70dB이상, 이하의 두 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측정된 359여개의 소음 및 기하구조, 운영요소 자료를 이용하여 소음규제 기준 및 심각도 기준에 대한 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 운행시 차내소음의 심각도를 판별할 때 기하구조에서는 궤도형태가, 운영요소에서는 속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지하철 노선 건설 시에는 궤도형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건설 후 운영적인 부분에서도 적절한 속도유지에 대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축된 판별모형은 비교적 높은 예측률을 보여 향후 지하철에 대한 개선대안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하철 차내소음 심각도가 높을 경우 판별값이 소음의 규제기준을 최대한 넘지 않도록 기하구조 및 운영요소들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판별모형은 소음 심각도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쾌적하고 안락한 지하철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인모, 최상순(1994), 지하철 차량운행에 의한 인접구조물의 소음 . 진동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Vol.4
  2. 지황률, 최재진, 강상수, 강대우(1997), 대구 지하철 구간내 선형 변동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방안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Vol.7
  3. 김기천(1997), 지하철의 소음과 건설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위논문
  4. 김희철, 허영(1997), 지하철 운행에 의한 소음의 예측식 제안, 터널과 지하공간 Vol.7
  5. 이연수, 김민영, 신재영(2002), 서울시내를 운행중인 지하철 소음.진동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Vol.24, No.7
  6. 김태호, 원제무, 배현웅, 김경도(2005), 지하철의 기하구조와 운영 요소가 소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40, No.3
  7. Marissa A. Barrera, Robyn R.M. Gershon (2005), Excessive noise level measures in a large metropolitan subway system, 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Convention
  8. Robyn R. M, Gershon, Richard Neitzel, Marissa A. Barrera, Muhammad Akram (2006), Pilot survey of subway and bus stop noise levels, journal of urban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