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heory of Mountain Village Region in Korea of Globalization Age

세계화 시대의 한국 산지촌에 관한 이론연구

  • 오남현 (미국 아이와 주립대학교)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theory on the research of mountain village region in korea of globalization age. The theory of this study is over-depopulation region study,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theory and resident organization, localities and new regional studies The case of over-depopulation region study, which population and land use of mountain village region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changed by external factors. However, the case of some region is changed by internal factors of community residents. The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theory and have approached by investment policy of authorities of the mountain village region development and resident organization. The development of mountain village region have to described simultaneously both behavior strategy of community residents and investment policy of the authorities. According to localities and new regional studies,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f mountain village region is extended to big-scale city by the progress transportation-communication and globalzation So, the research of mountain village region have to explained together intra with inter region. In the future, the research of mountain village region has to described all of case of over-depopulation region study,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theory, localities and new regional studies.

Keywords

References

  1. 강대현, 1966, 대관령 부근의 산촌의 입지와 형태, 지산선생 화갑기념논문집
  2. 김상범, 2007, 농촌경관계획지표 개발, 농촌자원과 생활, 2007봄호(109호)
  3. 김정호, 2004, 농업.농촌의 현실과 비전, 한국농촌개발연구원 세미나
  4. 김영남, 1997, 산지의 개발 및 효율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호남대행정대학원석사학위논문
  5. 김인, 1987, 산지촌개발을 위한 연구시론, 지역학논총, 제14호
  6. 김일기.이민부.박승규.전종환, 1999,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홍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학회지, 제44권 제1호
  7. 김일기외, 1999,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학회, 제34권 제1호
  8. 김학기, 1981,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고랭지농업의 현황과 전망, 고랭지농업, 제1호, 강원대학교 부설 고랭지 농업연구소
  9. 배재수, 1993, 우리나라 산촌 문제의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배재수외, 1993, 우리 나라 산촌 문제의 사적고찰에 관한 연구, 임업 경제, 창간호
  11. 산림청, 1980, 화전정리사
  12. 산림청, 임정50년사
  13. 서울대학교 농업대학부속 농업기술연구소, 1987, 산지의 효율적 개발방안 연구
  14. 서찬기, 1996, 지역학의 동향과 지리교육, 경북대 지리교육학과 강의 자료
  15. 손명철, 1995,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지역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손철호, 1996, 산촌 지역의 유형 구분과 발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임상보, 2002, 지속가능한 농촌지역개발계획 지표의 설정, 한국관개배수, 제9권 1호
  18. 오홍석, 1980, 한국촌락의 과소 실태와 진흥방안, 지역학 제22호
  19. 오홍석, 1984, 태백산지의 산촌에 관한 연구, 지역학 연구, 한국지리교육학회, 제9집
  20. 오홍석, 1985, 한국 산촌의 과소실태와 진흥방안, 지역학 제22호
  21. 오홍석, 1996, 태백산지의 산촌에 관한 연구, 한국의 농어촌과 환경연구
  22. 오홍석, 1992, 벽지촌락의 인구감소에 따른 폐촌현상과 정책 대응, 지역환경 5, 동국대학교 지역환경연구소
  23. 옥한석, 1985, 한국의 화전 농업에 관한 연구, 지역학연구, 제10집, 한국지리교육학
  24. 옥한석, 1985. 산촌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 지역학논총, 제32호
  25. 옥한석, 1991, 전작물 선택을 통해서 본 산지 주민의 환경 적응행태 연구, 서울대사회과학대학 지역학 논총 별호 9
  26. 유왕열, 1974, 산촌의 토지 이용에 관한 연구, 목포교대논문집, 제12집
  27. 유우익, 1983, 한국의 지역학에서의 지역정책의 논점, 지역학 논총 제10호
  28. 유우익, 1988, 산촌지역 정주체계의 정비방안 연구, 농업진흥공사
  29. 윤근섭.송정기, 1994, 과소지역의 형성과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제4집, 한국농촌사회학회
  30. 윤근섭.최낙필, 1994, 과소지역의 구조와 사회적 결속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제28집(겨울호)
  31. 이상일, 1990, 실재론의 지역학적 함의와 공간의 상대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총
  32. 이정면, 1966, 대관령지역토지이용의 현황과 방향, 경희대 국토종합개발연구소, 지역개발연구, 제2집
  33. 이정환 외, 2001,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4. 오남현, 2000, 상업적 산지농업지역의 사회경제적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한방, 2000, 과외농촌지역의 휴경화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한순, 1984, 寡疎.過疎지역의 제문제와 대책 -강원도를 사례로, 지역학논총, 제11호
  37. 임학성, 1994, 조선후기 反沓의 성행과 그 배경, 仁苟史學 2
  38. 장병호.이창덕.심옥, 1983, 고랭지 주요 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고소득작물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논문집 (자연과학), 제18집
  39. 조동규, 1970, 고랭지 토지이용의 변천 : 대관령의 농업적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지역학, 제5호, 대한지역학회
  40. 조동규, 1970, 태백산지역 농업경영의 구조, 지역개발연구 제3집, 경희대 국토종합개발연구소
  41. 조동규, 1970, 태백산지역의 토지이용형태의 분석, 경희대 국토종합개발연구소, 지역개발연구, 제2집
  42. 조동규, 1974, 화전의 토지이용의 토지이용 형태에 관한 연구.경영구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논문집, 제8집
  43. 한상복, 1964, 한국 산촌의 연구, 사회학 논총 제1집
  44. 한상복, 1964, 한국 산촌주민의 의식주, 사회학보 제7집
  45. 한상복, 1966, 한국 산촌주민의 양식과 신앙, 한국사회학, 제2집
  46. Bennett, J.W., 1969, Northern Plainsman : Adaptive Strategy and Agrarian Life, Aldine, Chicago, p.14
  47. Bennett, J.W., 1978, The Ecological Transition : Cultural anthropology and Human Adaption, Pergamon Press, New York
  48. Bloeler, I.R, Structural Chage in Agricultule, Progress in Rural Geography (ed. by Michael Pacione), Room Helm, 1983
  49. Doreen Massey, 1992, The Politacal Place of Locality Studies, space, place, and gender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50. Massey. D., 1992, In What Sense a Regional Problem, space, place, and gender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51. Duncan, O. T., 1964, Social organization and the ecosystems in Handbook of Modern
  52. Gilbert, A., 1988, The New Regional Geography in English and French-speaking countr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53. English and French-speaking countr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54. Gregory, D., 1994, Social Theory and Human Geography, Human geography, uni-Minnesota Press
  55. Warf, B., 1988, The resurrection of local uniqueness, in Golledge, R., Couclelis, H. and Gould, P., ers., A Ground for Common Search, Santa Barbara, Ca : Santa Barbara Geographical Press, p.51
  56. Warf, Barney, 1989, Locality Studies, Urban Geography, 10(2)
  57. Watson, J. B., 1965. From hunting to horticulture in the New Guinea Highlands, Ethnology, Vol.4
  58. Wilkinson, Kenneth p., 1986, In Search of the Community in the Changing Countryside, Rural Sociology 51(1)
  59. 金料哲, 1995, 韓國にあける農山村の人口減少に關する硏究動向課題, 人文地理 第47卷 第1
  60. 金料哲, 1997, 過疎地域の 遷地域と內發的對應に關する-住民組織の變容と地方
  61. 行政の役割にして- 名古室大學博士論文
  62. 武田久吉, 1934, 朝鮮の火郵民, トルメン, 第2卷 第4號, 講書院
  63. 浮田典良, 平成6年, 日本の農漁山とその變容, 東京 : 大明堂
  64. 佐マ本 隆, 1977, 生産組織にあける 經營的 性格の 形成に ついて, 農林業問題硏究
  65. 佐マ本 隆, 1998, 韓國にあける 農業の의 展開過程と 村落, 信州大學農學部紀要 第26券 第1.2號
  66. 石井英地, 1992, 地域變化とその構造, 二宮書店
  67. 篠原重則, 平成3年, 過疎地域の變遷と山村の動向, 東京 : 大明堂
  68. 日本國土聽地方振興局, 1993, 過疎對策の現況
  69. 林和生, 平成元年, 丹波山地にあける村落の 空間構造形と社會構造, 日本の農山 漁村産と 變容 : 大明堂
  70. 朝鮮總督府篤, 1933, 火田及ひ火田民, 朝鮮の聚落(全篇)
  71. 川 茂, 1973, 農村の變遷と普及活動, 全國農業改良普及協議會
  72. 靑木伸好, 平成元年, 村落變化の硏究動向と問題点, 日本の農山漁村産との變容 : 大明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