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n Service Analysis of Intercity Rail Station

지역간 철도역의 열차운행체계 연구

  • 이진선 (우송대학교 철도경영학부) ;
  • 김경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박범환 (한국철도대학 철도경영정보과)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ail service patterns by train class. The emphasis in intercity rail planning is to more efficiently use of existing station facilities. Rail transit operations are affected by the system layout and ridership patterns and by work rules. Operations are also influenced by past practices and the institutional setting. Main factors to decide train service patterns are the locati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land use and travel demand of the station. In this context, the travel demand of intercity rail station is of crucial significance. Tests on a KTX case shows that train service frequency can be efficiently decreased in weekday to transport the same passenger demand. The work has shown many subjects that need further research includi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n train frequency. This study serves the railroad authorities in planning and determining business strategy in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 of regional rail transport.

지역간 철도역을 운행하는 열차운영계획 또는 열차 정차횟수에 대한 논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까지 철도운영회사는 지역의 민원, 통행패턴, 현재까지의 운행실적 등을 근거로 하여 필요할 때마다 열차운행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의 추가역 설치 또는 정차횟수 증대 요구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 정차횟수 선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정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인 수송수요를 근거로 하여 예정된 정차역을 대상으로 적정 정차횟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차의 문제는 수송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송수요는 여러 독립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역별 이용자수는 해당역의 정차빈도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역 통과에 따른 통행시간 절감으로 인해서 타 교통수단에서 전환되는 수요와 역 통과에 따른 해당역의 이용자수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정차역 선정은 먼저 전체적인 이용자의 관점에서 예측된 수송수요를 최대한 수용하는 방향으로 정차역을 설정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역별 정차횟수를 기준으로 적정 열차운행계획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운영자의 관점에서 수송수요를 최대화하는 전략 이외에도 운행비용을 고려하여 수익을 최대화하는 전략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Dial R. B (1971), A Probabilistic Multipath Traffic Assignment Model Which Obviates Path Enumer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Vol. 5, No. 2, pp.83-111 https://doi.org/10.1016/0041-1647(71)90012-8
  2. Jayakrishna R., Mcnally M. G., Marar A. G. (1995) Recursive Structure for Exact Line Probabilities and Expected Waiting Times in Multipath Transit Assignment, TRR 1493, pp.78-187
  3. Spiess, H., Florian, M. (1989) Optimal Strategies : A New Assignment Model for Transit Networks, Transportation Research B, Vol. 23, pp.83-102 https://doi.org/10.1016/0191-2615(89)90034-9
  4. Wu J. H., Florian M., Marcotte P. (1994) Transit Equilibrium Assignment: A Model and Solution Algorithms, Transportation Science Vol. 28, No. 3, pp.193-203 https://doi.org/10.1287/trsc.28.3.193
  5. 교통개발연구원 (1999년), '지역간 철도의 도심통 과구간 개선방안'
  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0년), '기존선 전철화에 따른 중장거리 전기차량 운행방안 연구'
  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4년), '철도영업정책 효율성 향상방안 연구'
  8. 교통개발연구원 (2004년), '철도경영환경변화에 대비한 적자선/적자역 운영합리화 실행방안수립 연구'
  9. 황규석 (2004년), '정수계획모형을 이용한 지역간 철도운영체계 개발과 평가',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5년), '지역간 철도정차역 선정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11. 한국교통연구원 (2005년), '지역간 통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고속철도 이용증대방안 연구'
  12. 박범환.오석문.홍순흠.문대섭(2005년), '다양한 정차 패턴을 고려한 열차 노선계획의 수립',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15-125
  13. 한국교통연구원 (2007년), '지역간 철도 선로용량 관리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