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Capillary Pore and Chloride Diffusivity by Electrical Difference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Metakaolin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모세관공극 특성과 전위차 염소이온 확산계수에 관한 연구

  • Kim, Nam-Wook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
  • Yeo, Dong-Goo (Dep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ong, Jun-Ho (Dep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ae, Ju-Seong (Dep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RCIT)
  • 김남욱 (청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여동구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송준호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배주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공업기술연구센터)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According to the high demand of concrete structures with high performance, various studies have examined on the high performance concrete, especially high strength concrete. Various admixtures are required to produce high strength concrete and silica fume has been the most popular admixture. Recently, however, metakaolin, which is similar to silica fume in properties but cheaper, has been introduced to high strength concrete. In this study, high-strength concrete using metakaolin were studied of capillary pore structure by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echnique and the accelerated chloride diffusivity by electrical difference.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re structure improved an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nd chloride diffusivity reduced as more metakaolin content was added.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of $5{\sim}2,000nm$ pore volume and both compression strength and chloride diffusivity revealed that each these had a high correlation of about 0.76 and 0.68.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성능화가 요구됨에 따라 고성능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고강도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강도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혼화재료의 첨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실리카퓸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실리카퓸과 대등한 성능을 가지면서 실리카퓸보다 저가인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를 대상으로의 수은압입법에 의한 모세관공극 특성과 전위차에 의한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측정한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메타카올린의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공극 구조가 개선되었으며, 압축강도가 증가하고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모세관 구조와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 확산 계수와의 회귀분석 결과 크기가 52,000 범위의 공극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각의 결정계수가 약 0.76 및 0.68 정도로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안태호,김용태,김병기,'시멘트 . 콘크리트 혼화재료로서의 메타카올린 응용 가능성', 콘크리트학회지,14권 4 호,2002,pp.118-127
  2. 김동석,'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3,pp.25-34
  3. 김진만,이상수,김동석,'메타차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콘크리트학회 봄학술발표논문집,15권 1호,2003,pp.47-52
  4. 염준환,'메타카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고강도 및 고내구성화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4,pp.36-42
  5. 이상호,문한영,'Metakaolin 혼합 고강도콘크리트의 내구특성 예측',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9권 2호,2005,pp.173-180
  6. Uchikawa,H.,Gypsum and Lime,No.299,1990,pp.497-505
  7. Diamon,M,Journal of American Ceramic Society,Vol.60,No.3-4,1991,pp.110-114 https://doi.org/10.1111/j.1151-2916.1977.tb15483.x
  8. Metha, P. K. and Moteiro, P. J. M, Concrete ; 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2nd Ed. Prentice Hall, 1993, pp.76-88
  9. 문한영, 김홍삼, 최두선, '콘크리트 종류별 모세관공극 특성과 전위차 염소이온 확산계수',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3권 5A호, 2003, pp.969-976
  10. L. Tang, 'Electrically Accelerated Methods for Determining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Current Development',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48, No.176, 1992, pp.173-179 https://doi.org/10.1680/macr.1996.48.176.173
  11. L. Tang and L. O Nilsson, 'Rapid Determination of the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by Applying an Electrical Field', ACI Materials Journal, Vol.89, No.49-53, 1992, pp.49-53

Cited by

  1. Long-term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 vol.33, pp.3,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3.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