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sconceptions of the Freshmen at High School about Plate Tectonics

판구조론에 관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오개념

  • Jeong, Kyoung-J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eong, Ku-Song (Yang Jae High School) ;
  • Moon, Byoung-Cha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eong, Jin-W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정경진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정구송 (양재고등학교) ;
  • 문병찬 (광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sconceptions about plate tectonics which spread widely among freshmen at high school with drawing. For this, we chose 6 conceptions about plate tectonics by analysis of 7th curriculum and of 11 kinds of science textbooks. Questionnaire of drawing about plate tectonics were developed depending on them. Data was collected from 134 students who was freshmen at high school in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n structure of plate, 'upper mantle type' and 'crust type' misconceptions we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econd, In distribution of plate, 'cracked earthquake zone type' and 'earthquake frequency type' misconceptions we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Third, In formation of ocean ridge at oceanic crust- oceanic crust divergent plate boundary, 'divergence type' and 'collision type' misconceptions we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Fourth, In formation of mountain ridge at continental crust- continental crust convergent plate boundary, 'collision type' misconceptions we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Fifih, In formation of mountain ridge at oceanic crust- continental crust convergent plate boundary, 'subduction type' and 'fault type' misconceptions we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ixth, In transform-fault at oceanic crust- oceanic crust transform-fault boundary, 'direction type' and 'section type' misconceptions were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students' drawings about plate tectonics showed similar misconceptions. This imply that drawing conceptions can be used by the strong evidence of misconceptions which spread widely among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this conclusion is useful to teachers as basic teaching-teaming materials of plate tectonics.

이 연구의 목적은 개념의 원형적 표현인 그림 그리기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판구조론에 관한 오개념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와 고등학교 11종 과학 교과서의 원형적 표현을 분석하여 판구조론에 관한 6가지 개념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구조론에 관한 개념 그리기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판의 구조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8%인 '맨틀 최상부형' 오개념과 18%인 '지각형' 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판의 분포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7%인 '금이 간 지진대형' 오개념과 14%인 '지진 빈도형' 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셋째, 해양지각-해양지각 발산형 판 경계에서 해령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2%인 '발산형' 오개념과 29%인 '충돌형'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넷째, 대륙지각-대륙지각 수렴형 판 경계에서 산맥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충돌형' 오개념이 전체의 70%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다섯째, 해양지각-대륙지각 수렴형 판 경계에서 산맥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4%인 '선입형' 오개념과 23%인 '단층형' 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여섯째, 해양지각-해양지각 변환 단층 경계에서 변환 단층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0%인 '방향형' 오개념과 10%인 '구간형' 오개념이 과반수에 근접했다. 이 연구에서 판구조론에 관한 학생들의 그림은 대부분이 비슷한 오개념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것은 개념 그리기가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오개념의 강력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판구조론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서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권숙일, 이민호, 박수인, 윤용, 이강석, 이태욱, 정규효, 양영주,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교학사, 서울, 387 p
  2. 교육부, 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과학과 교육과정. (주)대한교과서, 서울, 101 p
  3. 김찬종, 서만석, 김희백, 심재호, 현종오, 한인옥, 권성기, 박성식,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도서출판디딤돌, 서울, 359 p
  4. 박지연, 이경호, 2004,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misconception)에서 정신모형(mental model)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21-637
  5. 성민웅, 김봉곤, 조성동, 강대훈, 강충호, 구자옥, 노일환, 이용철, 임태훈, 최범선, 한은택, 2001,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주)문원각, 서울, 415 p
  6. 송진웅, 2003, 구성주의적 과학교육과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2(2), 87-109
  7. 송호봉, 정용순, 유병선, 이윤상, 김여상, 정태연, 이하원, 윤덕열,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홍진 P&M, 서울, 369 p
  8. 우규환, 이춘우, 오두환, 김영유, 경재복, 이경훈, 박태윤, 이영직, 백수관, 김병인, 김봉래, 이기영,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99 p
  9. 이규석, 조희형, 박봉상, 박문수,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이창진, 이용준,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대한교과서, 서울, 391 p
  10. 이면우, 장병기, 고재덕, 윤상학, 이진승, 여상인, 김홍석, 임채성, 배진호, 백승용, 이성진, 최변각,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지학사, 서울, 359 p
  11. 이문원, 전성용, 최병수, 권석민, 노태희, 허성일, 김출배, 강석진, 박희송, 김경호, 김규상, 채광표, 김진만, 정대영,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금성출판사, 서울, 415 p
  12. 이연우, 강석본, 김인석, 김성진, 이진우, 안종제, 배미정, 전화영,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이젠미디어, 서울, 367 p
  13. 정구송, 정진우, 2007, 지각과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대안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8(3), 266-276 https://doi.org/10.5467/JKESS.2007.28.3.266
  14. 정완호, 권재술, 김대수, 김범기, 신영준, 우종옥, 이길재, 정진우, 최병순, 황원기,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교학사, 서울, 350 p
  15. 정진우, 1991, 중학교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오개념의 형성 원인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2(4), 304-322
  16. 차동우, 김희수, 이명석, 이현주, 최종한, 이복영, 옥준석, 윤세진, 이원경, 정남식, 신동원, 2001,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주)천재교육, 서울, 355 p
  17. Carey, S., 1991, Knowledge acquisition: Enrichment or conceptional change? In Carey, S. and Gelmnan, R. (eds.), The epigenesis of mind: Essays on biology and cogn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Hillsdale NJ, USA, 257-291
  18. Ford, B., and Taylor, M., 2006, Investigating students' ideas about plate tectonics. Science Scope, 30 (1), 38-43
  19. Gilbert, J.K., Osborne, R.J., and Fensham, P.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 (4), 623-633 https://doi.org/10.1002/sce.3730660412
  20. Glynn, S., 1997, Drawing mental models. The Science Teacher, 64 (1), 30-32
  21. Gobert, J.D., 2000, A typology of causal models for plate tectonics: inferential power and barriers to understa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9), 937-977 https://doi.org/10.1080/095006900416857
  22. Gobert, J.D., 2005, The effects of different learning tasks on model-building in plate tectonics: Diagramming versus explain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4), 444-455 https://doi.org/10.5408/1089-9995-53.4.444
  23. Gobert, J.D. and Clement, J.J., 1999, Effects of student-generated diagrams versus student-generated summarie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ausal and dynamic knowledge in plate tecton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1), 39-53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1)36:1<39::AID-TEA4>3.0.CO;2-I
  24. Hampton, J.A., 2000, Concepts and prototypes. Mind and Language, 15 (2), 299-307 https://doi.org/10.1111/1468-0017.00134
  25. Jacobi, D., Bergeron, A., and Malvesy, T., 1996, The popularization of plate tectonics: Presenting the concepts of dynamics and tim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5 (2), 75-100 https://doi.org/10.1088/0963-6625/5/2/001
  26. Libarkin, J.C., Anderson, S.W., Science, J.D., Beilfuss, M., and Boone, W., 2005,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deas about the ear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1), 17-26 https://doi.org/10.5408/1089-9995-53.1.17
  27. Lowe, R.K., 1993, Constructing a mental representation from an abstract technical diagram. Learning and Instruction, 3 (3), 157-179 https://doi.org/10.1016/0959-4752(93)90002-H
  28. Marques, L. and Thompson, D., 1997,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s concerning continental drift and plate tectonics among portuguese students aged 16-17.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5 (2), 195-222 https://doi.org/10.1080/0263514970150206
  29. Osherson, D.N. and Smith, E.E., 1981, On the adequacy of prototype theory as a theory of concepts. Cognition, 9 (l), 35-58 https://doi.org/10.1016/0010-0277(81)90013-5
  30. Sibley, D.F., 2005, Visual abilities and misconceptions about plate tectonic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4), 471-477 https://doi.org/10.5408/Sibley_v53p471
  31. Smith, E.E., 1995, Concepts and categorization. In Smith, E.E. and Osherson, D.N. (eds.), Thinking: An Invitation to Cognitive Science. vol. 3. MIT Press, Cambridge MA, USA, 3-33

Cited by

  1.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Plate Boundaries and Their Conception Revision According to Their Reasoning Patterns vol.35, pp.5,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5.385
  2.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n Plate Tectonics vol.35, pp.6,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6.484
  3. Cross-Sectional Item Response Analysis of Geocognition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Plate Tectonics Learning Progressions: Rasch Model vol.35, pp.1,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37
  4.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