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thrombotic Activities of Cheongkookjang and Cheongkookjang Fermented with Green Tea or Mugwort

청국장 및 녹차, 쑥이 첨가된 청국장의 항혈전 활성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water extract of cheongkookjang and cheongkookjang fermented with green tea or mugwort were evaluated on some antithrombosis related activities in vitro and thrombotic death inhibition in vivo. Cheongkookjang made of white soybean (Glycine max) or black small soybean (Rhynchosia nulubilis)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ies. Addition of green tea or mugwort during cheongkookjang fermentation increas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cheongkookjang with green tea showed more drastic increase compared with cheongkookjang with mugwort.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the cheongkookjang extracts were prominent but the addition of green tea or mugwort seldom increased the scavenging effects. All the cheongkookjang extracts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on platelet aggregation.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cheongkookjang were increased considerably by addition of green tea or mugwort even with low concentration. Plasmin unit as fibrinolytic activity was not affected considerably by addition of green tea. Addition of mugwort decreased the activity transiently at low concentration ($0.3{\sim}1.0%$) but increased again slowly at higher concentration ($1{\sim}3%$). In vitro thrombotic death inhibition test, the antithrombotic activity of cheongkookjang made of black small bean with green tea was higher by about 1.5 times compared to that without green tea. As results, cheongkookjang might inhibit antithrombosis not only by fibrinolytic action but also by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antioxidative action. The addition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green tea or mugwort could increase the antithrombotic function, even at low concentration.

청국장 및 기능성분이 첨가된 청국장 추출물이 가지는 항혈전 관련 활성을 검정하였다. 흰 콩(Golycine max)과 검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청국장과 여기에 각각 녹차, 쑥이 첨가되어 제조된 청국장에 대해 in vitro에서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 혈소판응집 억제 및 fibrin 분해활성을 측정하였고, 가장 우수한 시료에 대해 in vitro에서 혈전억제능을 시험하였다.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 흰콩이나 검은콩 청국장 모두 녹차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활성이 급격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쑥을 첨가한 경우에는 활성 증가율이 녹차에 비해 다소 적었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90% 이상 매우 높았으나 기능성분 첨가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았다. 혈소판응집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녹차나 쑥을 첨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특히 흰콩이나 검은콩 청국장 모두 $0.3{\sim}1.0%$의 낮은 농도에서도 녹차나 쑥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활성 이 크게 증가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fibrin 분해활성을 plasmin unit으로 환산한 결과, 흰콩보다는 검은콩 청국장의 혈전용해 활성이 약간 좋았으나, 기능성분 첨가에 따른 활성증가는 크지 않았으며 특히 쑥을 첨가한 경우는 저농도에서 활성이 상당히 감소하다가 농도상승에 따라 활성이 약간 회복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험군중 in vitro 혈전억제 작용이 가장 우수한 녹차 첨가검은콩 청국장에 대해 마우스를 이용한 in vitro 혈전유발 억제능을 조사하여, 녹차를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1.5배 정도 억제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청국장은 혈전용해뿐 아니라 혈소판응집 억제 및 항산화 기능 등에 의해서 혈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차나 쑥 등 기능 성분 첨가시 소량 첨가에도 매우 향상된 혈전억제 활성을 가진 청국장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구순 봉합수술 후에 구개부 (palatal segment) 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였다. 치조골 면적과 거리 항목의 증가는 후방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AM치료에 의한 치조골 정형효과는 주로 전방부에서 발생하며, 치조골의 성장은 구순 봉합수술 후에 후방부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물실험을 통해 증명이 되었으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는 아직 기대만큼 명료한 결과들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IARC나 EPA모두 인체발암물질로 분류하였고 다양한 건강영향에 대한 증거들이 있는 것은 분명한 만큼 다이옥신 노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EX>-RA투여로 인해 위내에 발생한 무위산증(achlorhydria)이 위암 발생의 위험을 높일 것이라는 기존의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론이라고 할 수 있었다. Mies van der Rohe의 제자들이나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수많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저항과 비판에 직면하게 되며 새로운 사고의 시대적 요구 앞에 고뇌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1978년 Mies van der Rohe의 제자인 김종성이 미국에서 서울로 돌아와 '서울건축컨설탄트'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Miesianism의 규범적 건축론을 설파하기 시작하였다. 이른바 시카고 국제주의학파의 건축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서울건축컨설탄트'를 통하여 배출된 김종성의 제자들은 명쾌하고도 간결한 건축해법의 경험을 토대름대로의 정체성을 갖고자 노력하였으나 결국 다원적 가치를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 혼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Miesianism의 기원을 밝히고 그것의 실수와 오류를 밝힘과 동시에 현대의 여러 가지 건축유형들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Post-Miesianism의 실체와 그 미래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미스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Miesianism의 요체는 첫째, Schinkel로부터 이어받은 시대정신의 사명감,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한, 박용곤, 이기동. 1996. phenol성 화합물의 아질산염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8, 232-239
  2. 류근호, 이주영, 정진호. 1994. 자연식품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능의 효율적 검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9, 23-30
  3. 박진희, 하애화, 조정순. 2005. 녹차 된장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 및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7, 806-811
  4. 손태중. 1979. 병리학개념, p. 84-86. 고문사, 서울
  5. 유형재, 이동석, 김한복. 2004. 보리, 쑥, 다시마, 대두혼합물의 청국장 발효. 한국미생물학회지 40, 49-53
  6. 이시경, 주현규, 윤세억, 최병달. 1998. 청국장제조시 대두원료의 동결과 쑥추출물의 첨가가 품질 및 이화학적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화학회지 41, 510-515
  7. Antiplatelet Trialist Collaboration. 1994. Collaborative overview of randomised trials of antiplatelet therapy-1: Prevention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by prolonged antiplatelet therapy in various categories of patients. Br. Med. J. 308, 81-106 https://doi.org/10.1136/bmj.308.6921.81
  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98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6th ed. Washington D.C., USA
  9. Astrup, T. and S. Mullertz. 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s. Biochem. Biophys. 40, 346-350 https://doi.org/10.1016/0003-9861(52)90121-5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4-1204
  11. Born, G.V.R. and M.J. Cross. 1963. The aggregation of blood platelets. J. Physiol. 168, 178-195 https://doi.org/10.1113/jphysiol.1963.sp007185
  12. Chung, M.J., A.Y. Kang, S.O. Park, K.W. Park, H.J. Jun, and S.J. Lee. 2007. The effect of essential oil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princeps), with and without added vitamin E, on oxidative stress and some genes involved in cholesterol metabolism. Food Chem. Toxicol. 45, 1400-1409 https://doi.org/10.1016/j.fct.2007.01.021
  13. Davies, M.J. and A.C. Thomas. 1985. Plaque fissuring-the caus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udden ischaemic death, and crescendo angina. Br. Heart J. 53, 363-373 https://doi.org/10.1136/hrt.53.4.363
  14. DiMinno, G. and M.J. Silver. 1983. Mouse antithrombotic assay: A simpl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antithrombotic agents in vivo. Potentiation of antithrombotic activity by ethyl alcohol. J. Pharmacol. Exp. Ther. 225, 57-60
  15. Gorden, J.L. 1981. Platelets in perspective, pp. 1-17. In J.L. Gorden (ed.), Platelets in biology and pathology. Elsevier, North- Holland Press, Amsterdam, Netherland
  16. Gray, J.I. and L.R. Dugan, J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5.tb02248.x
  17. Hopps, H.C. 1977. Principles of pathology, p. 47-55. NewYork Appleton Centry Croft, USA
  18. Kang, W.S., I.H. Lim, D.Y. Yuk, K.H. Chung, J.B. Park, H.S. Yoo, and Y.P. Yun. 1999.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green tea catechins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Thromb. Res. 96, 229-237 https://doi.org/10.1016/S0049-3848(99)00104-8
  19. Lee, K.A. and M.S. Kim. 2005.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of Usnea longissima. Phytother. Res. 19, 1061-1064 https://doi.org/10.1002/ptr.1791
  20. Mine, Y., A.H.K. Wong, and B. Jiang. 2005. Fibrinolytic enzymes in Asi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Res. Int. 38, 243-250 https://doi.org/10.1016/j.foodres.2004.04.008
  21. Pace-Asciak, C.R., S. Hahn, E.P. Diamandis, G. Soleas, and D.M. Goldberg. 1995. The red wine phenolics trans-resveratrol and quercetin block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eicosanoid synthesis: Implications for protection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 Clin. Chim. Acta 235, 207-219 https://doi.org/10.1016/0009-8981(95)060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