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Health Diagnosis of Sumjin River using Fish Model Metric, Physical Habitat Parameters,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어류모델 메트릭, 물리적 서식지 변수 및 수질특성 분석에 의한 섬진강의 생태 건강성 진단

  • Lee, Eui-Haeng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Woong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Hoo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valuate ecological health of Sumjin River during April${\sim}$June 2006. The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was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Qualitative B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nd water chemistry. For the study, the models of IBI and QHEI were modified as 10 and 11 metric attributes, respectively. We also analyzed spatial patterns of chemical water quality over the period of $2002{\sim}2005$, using the water chemistry dataset,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Sumjin River, values of IBI averaged 33 (n= 12), which is judged as a "Fair${\sim}$Good" condition after the criteria of Barbour at al. (1999). There was a distinct spatial variation. Mean IBI score at Site 5 was estimated as 40, indicating a "Good" condition whereas, the mean at Site 3 was 23, indicating a "Poor${\sim}$Fair" condition. Habitat analysis showed that QHEI values in the river averaged 109 (n=6), indicating a "Marginal" condition after the criteria of Harbour et al. (1999). Values of BOD and COD averaged 1.3 mg $L^{-1}$ (scope: $0.9{\sim}1.8$ mg $L^{-1}$) and 3.3 mg $L^{-1}$ (scope: $2.8{\sim}4.0$ mg $L^{-1}$),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It was evident that chemical pollutions by organic matter were minor in the river.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averaged 2.5 mg $L^{-1}$ and 0.067 mg $L^{-1}$, respectively, and the nutrients did not show large longitudinal gradien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ach. Overall, dataset of IBI, QHEI, and water chemistry suggest that river health has been well maintained, compared to other major watersheds in Korea and should be protected from habitat disturbance and chemical pollutions.

본 연구는 국내 5대강 수계 중 하나인 섬진강 수계의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체 안정기인 2005년 4월과 6월, 2회에 걸친 조사를 실시하여 섬진강의 생태 건강성을 진단하였다. 생물통합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모델 분석은 국내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된 10개 다변수 메트릭 모델(Multimetric model)을 이용하였고, 정성적 서식지 평가 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분석은 국내 하천 특성에 맞게 변형한 11개의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이 화학적 수질 분석은 섬진강 수계의 환경부 측정망 지점 자료 중,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간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섬진강의 생물통합지수는 33(n=12)로서 "보통${\sim}$양호상태" (Fair${\sim}$Good)로 나타났다. 지점별 모델값은 지점 5에서 40 "양호상태" (Good)로 생물통합지수가 가장 양호한 지점으로 나타난 반면에 지점 3은 23 "악화${\sim}$보통상태" (Poor${\sim}$Fair)로 생물통합지수가 가장 악화된 지점으로 나타났다. 서식지 건강성 지수는 평균 109(n=6)으로 "일부훼손상태"(Marginal)로 나타났으며, 지점별 모델값은 지점 6에서 136으로 "양호상태" (Suboptimal), 지점 3은 54로서 "악화${\sim}$일부훼손상태" (Poor${\sim}$Marginal)로 나타났다. 이 화학적 수질자료의 지점별 분석에 따르면, 지난 4년간 평균 BOD와 COD값은 각각 1.3 mg $L^{-1}$(범위: $0.9{\sim}1.8$ mg $L^{-1}$)과 3.3 mg $L^{-1}$ (범위: $2.8{\sim}4.0$ mg $L^{-1}$)로 나타나 유기물에 의한 화학적 오염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N과 TP의 평균값은 각각 2.5 mg $L^{-1}$과 0.067 mg $L^{-1}$로 나타나 영양염류는 상 하류간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생물통합지수와 정성적 서식지 평가, 이 화학적 수질 분석에 따르면, 섬진강의 수환경은 5대강 수계 중 어류가 서식함에 있어 가장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서식지 교란과 화학적 오염으로부터 계속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2002. 생물학적 수질기준 설정 필요성 빛 접근방안. 환경생물 20(Special Issue): 38-49
  2. 김건하. 2006. 금강유역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오염 및 수질에 대한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22(3): 504-512
  3. 김성호, 윤창호, 주현수. 2002. 섬진강 수계의 곡성군 어류상. 환경생물 20(2): 152-157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5.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 한국 어류대도감. 교학사
  6. 박종호, 이상일, 조영옥. 2004. Ceriodaphnia dubia의 먹이섭생 기작과 온도조절에 근거한 급성독성조사법의 비교. 한국환경학회지 20(1): 48-54
  7.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육수지 39(2): 198-208
  8. 신재기, 조주래, 황순진, 조경제. 2000. 경안천-팔당호의 부영양화와 수질오염 특성. 육수지 33(4): 387-394
  9. 안건상. 2005. 섬진강 최상류인 요천의 수질오염.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821-827
  10. 안광국, 김자현.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육수지 38(3): 361-371
  11.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육수지 38(3): 341-351
  12. 안광국, 이재연, 배대열, 김자현, 황순진, 원두희, 이재관, 김창수. 2006. 우리나라 주요하천 수계에서 다변수모델을 이용한 생태학적 수환경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96-804
  13.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육수지 34(3): 153-165
  14. 안광국, 최지웅. 2006. 초강의 통합적 생태건강성 평가. 육수지 39(3): 320-330
  15. 양해근, 최희철. 2003.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의 하천 수질환경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38(1): 16-31
  16. 염동혁, 안광국, 홍영표, 이성구.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강의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평가. 환경생물 18(2): 215-226
  17. 원두희, 전영철, 권순직, 황순진, 안광국, 이재관. 200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한국오수생물지수의 개발과 생물학적 하천환경평가 적용.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68-783
  18. 유형빈, 이관식. 2003. 섬진강 상류수계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연구지 12: 1-8
  19. 이경보, 김백호, 이덕배, 김재덕, 최민규. 2000.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9(4): 276-283
  20. 정용준, 남광현, 민경석. 2004. 낙동강 소유역 경지에서의 비점 오염원 물질 발생 및 배출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4): 333-338
  21. 조규석, 박종호, 강주찬. 2004. 수은, 납 및 구리에 대한 붕어와 돌고기 자어의 급성독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3): 265-268
  22. 환경부. 2004.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 p. 321-344
  23. 황순진, 김난영, 원두희, 안광국, 이재관, 김창수. 2006. 돌말 (Epilithic Diatom) 지수를 이용한 국내 주요 하천(금강, 영산강, 섬진강)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84-795
  24.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25.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26.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7.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U.S.A
  28. SPSS. 2004. SPSS 12.0 KO for windows. Apache software foundation
  29.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30.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