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정호 육봉형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Pisces: Osmeridae)의 성장에 따른 식성 및 섭식기관의 변화

The Change of Feeding Habits and Feeding Organ of Land-locked Plecoglossus altivelis (Pisces: Osmeridae), in Relation to Growth in the Lake Okjeong, Korea

  • 고명훈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전북대학교 부설생물다양성연구소) ;
  • 김익수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전북대학교 부설생물다양성연구소) ;
  • 박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전북대학교 부설생물다양성연구소) ;
  • 이용주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Ko, Myeong-Hun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Ik-Soo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Yeong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Joo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 : 2007.06.30

초록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옥정호 육봉형 은어(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에 따른 식성 및 섭식기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소에 서식하는 체장 $25{\sim}40$ mm의 후기자어는 요각류, 물벼룩류 및 윤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체장 $50{\sim}60$ mm의 치어는 파리목의 깔다구류, 요각류 및 물벼룩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반면에 추령천에 소상한 $60{\sim}70$ mm의 치어는 동물성 먹이와 조류를 같이 섭식하였으며, 70mm 이상의 미성어는 Synedra, Cymbella, Navicula 및 Pinnularia와 같은 부착 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또한 성장 및 먹이생물과 관련하여 이(teeth)와 위 (stomach)의 형태도 바뀌었다.

Changes of feeding habitat and feeding organ of a land-locked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related to their growth process were investigated in the Lake Okjeong, Sannae-myeon, Jeongeup-si, Jeollabuk-do, Korea from 2004 to 2005. In the lake, the post-larvae from 25 to 40 mm in standard length fed mainly on animal organisms such as Copepoda, Branchiopoda and Rotatoria. Also, the juveniles from 50 to 60 mm (SL) fed on Chironomidae of Diptera, Copepoda and Branchiopoda. However, the juvenile from 60 to 70 mm (SL) in the Churyeong Stream fed on animal organisms and aquatic algae, the immature fishes more than 70 mm (SL) fed on only periphyton such as Synedra, Cymbella, Navicula and Pinnularia. Also, the feeding organs of the tooth and stomach were changed according to its growth and food chang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명훈, 김익수, 박종영, 이용주. 2007. 옥정호 육봉형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Pisces: Osmeridae)의 서식분포와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9(1): 24-34
  2. 김병직. 1996. 한국산 좀구굴치 Hypseleotris swinhonis(Gunther)의 생태와 생활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용억. 1978. 어류학 총론. 태화출판사
  4. 김익수, 고명훈. 2005. 섬진강에 서식하는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Cobitidae)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7(2): 112-122
  5. 김익수, 고명훈, 박종영. 2006.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 (Pisces; Cobitidae)의 개체군 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9(3): 277-286 https://doi.org/10.5141/JEFB.2006.29.3.277
  6.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7. 농림부. 1998. 담수에서의 은어 종묘생산 기술 개발. 국립수산 진흥원 진해내수면 연구소
  8. 백현민, 송호복, 심하식, 김영건, 권오길. 2002.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와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의 서식지 분리와 먹이선택. 한국어류학회지 14(2): 121-131
  9. 변화근, 심하식, 최재석, 손영목, 최준길, 전상린. 1995. 치악산 계류에 서식하는 둑중개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7(2): 160-170
  10. 손영목, 변화근. 2004. 금강에 서식하는 퉁사리 (Liobagrus obes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4(4): 336-340
  11. 이계안. 1996. 한국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생물학적 특성 및 영양생리.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균우, 박흠기, 이상민, 한현섭, 임영수. 2004 은어 자어 (Plecoglossus altivelis) 사육에 있어서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먹이효과. 육수지 37(1): 7-12
  13.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14. 정준. 1993. 한극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5. 조규송. 1993. 한국담수동물플랑크톤도감. 아카데미서적
  16. 최기철. 1995. 봉화군 일대에서 서식하는 육봉형 은어의 생태조사. 봉화군 용역보고서
  17. 최재석, 권오길, 박정호, 변화근. 2001. 홍천강에 서식하는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3(4): 230-236
  18. 최재석, 장영수, 이광렬, 권오길. 2004. 남한강에 서식하는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phal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6(2): 165-172
  19. 한국수자원공사(K-water). 1985-1994. 옥정호 다목적댐 관리연보
  20. Iwai, T. 1962. Studies on the Plecoglossus altivelis problem: Embryology and histophysiology of digestive and osmoregulatory organs. Bull. Misaki Mar. Biol. Inst. Kyoto University 2: 1-101
  21. Kawabata, K., T. Narita, M. Nagoshi and M. Nishino. 2002. Stomach contents of the landlocked dwarf ayu in Lake Biwa, Japan. Limnol. 3: 135-142 https://doi.org/10.1007/s102010200016
  22. Komada, K. 1982. Growth and replacement of dentary teeth in young ayu Plecoglossus altivelis. Japan J. Ichthy. 29(2): 213-219
  23. Mittelbach, G.G. 1984. Predation and resource partitioning in two sunfish (Centrarchidae). Ecol. 65: 499-513 https://doi.org/10.2307/1941412
  24. Nishida, M. 1986. Geographic variation in the molecular, morphological and reproductive characters of the ayu Plecoglossu.s altivelis (Plecoglossidae) in the Japan-Ryukyu Archipelago. Japan. J. Ichthyol. 33(3): 232-248
  25. Peter B.M. and J.C.J. Joseph. 2000.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fourth edition. Prentice Hall
  26. Pinkas, L., M.S. Oliphant and I.K.K. Iv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 Calif Dep. Fish Game Fish/Bull 152: 1-105
  27. Shiraish, Y. and N. Suzuki. 1962. The spawning activity of ayu-fish, Plecoglossus altivelis. Freshwater an Annual Report 12(1): 83-107. (In Japanese)
  28. Song, H.H. 1982.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kton communities in Lake Ok-jeong. Bull. Korean Fish. Soc. 15(4): 33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