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연례,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2006), pp.3-32
- 곽철완, 장윤금,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4 (2006), pp.143-160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Final Report: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Chicago : ALA, 1989)
-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98)
- Kuhlthau, C.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2nd edition.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2004)
- Loertscher, D. and B. Wools. Information literacy: Review of the research. 2nd edition. (Texas : Hi Willow Research and Pub, 2002)
-
Williams, D. Information literacy and learning on-line. In SCROLLA Networked Learning Symposium, University of Glasgow. [Cited 2007.10.20].
- Kapitzke, C. 'Information literacy: A review and poststructural critique.' Australian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cy, Vol.26, No.1 (2003). pp.53-66
-
Herring, J. 'A Critical Investig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view of the use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n school assignments,'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Vol.9(2006)
- Russell, S. 'Teachers and librarian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ian, Vol.29, No.5(2002), pp.35-38
- 권은경, '미국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 (2006), pp.381-414
- 유소영,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25(1994), pp.53-74
- 한윤옥,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29(1995). pp.257-279
- 송기호,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4, No.2 (2003), pp.27-40
- 이병기,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6, No.1(2005), pp.45-74
- 이병기,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2 (2006), pp.1-36
- Intan Azura Mokhtar and Shaheen Maid,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ip between teachers and librarians in Singapor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8(2006), pp.265-280 https://doi.org/10.1016/j.lisr.2006.03.005
- Patricia Montiel-Overall. 'Research on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ion: An examination of underlying structures of model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29(2007), pp.277-292 https://doi.org/10.1016/j.lisr.2007.04.006
- Winer, M., & Ray, K. Collaboration handbook: Creating, sustaining and enjoying the journey(MN: Amherst H. Wilder Foundation. 1994)
- Russell, S.. Teachers and library media specialist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y Media Specialist, Vol.29, No.5(2002), pp.35-38
- 교육인적자원부. 2006 학교도서관 활성화 우수 사례집
-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학교도서관 기반 독서 및 정보활용교육 제44회 전국도서관대회 학교도서관 세미나(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7)
- 2007년 10월 30일 이대부초 사서교사와 면담
- '교육인적자원부. 2006 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학교도서관 수가 2002 년도에는 8,181개였고. 2005년도 9,696개로 1,515개의 증가를 보여 2005년 현재 학교도서관 설치율을 89.6%가 되었다. 한편 사서교사 수는 2002년 164명에서 2005년에는 313명으로 149명이라는 아주 적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비정규직 사서 수는 2002 년의 880명에서 2005년에는 1,881명으로 1,001명의 증가율을 보였다(도서관 연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