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of-book-style indexes have a similar function as back-of-book indexes. The best advantage o4 back-of-book-style indexes for Information access on the web is to give direct access to specific subjects of interest. Though back-of-book-style indexes are alphabetically arranged as back-of-book indexes, they have linked index entries to contents on the site by using a anchor tag of HTML. In this research, I have created back-of-book-style indexes in two separated ways, by hand-crafted and semi-automatic Indexing. We have utilized back-of-book-style indexes, that is similar to back-of-book index of traditional information organization metho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library circumstances.
웹 사이트 내 색인은 권말색인의 기능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에 이용자에게 사이트 내의 특정 페이지나 보다 상세한 컨텐츠에 직접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웹 사이트 내 색인을 작성하는 목적이다. 웹 사이트 내 색인은 권말색인과 마찬가지로 자모순으로 배열되지만, 웹상에서는 소재위치를 표시하는 대신에 HTML의 태그에 의해서 색인 저록과 사이트의 컨텐츠가 하이퍼링크 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작업 색인과 자동으로 표목을 생성한 후 수작업으로 통제한 색인, 두 가지 방식으로 웹 사이트내 색인을 작성하였다. 전통적인 문헌정보학의 정보조직 수단인 전말 색인과 유사한 웹 사이트 내 색인을 도서관과 같은 사이트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