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of Forestry Household and Forest Management in Korea - The Case of 2005 Forestry Census and the Economic Survey of Forestry Household -

우리나라 임가의 구조와 임업경영 - 2005년의 임업총조사와 임가경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07.09.18
  • Accepted : 2007.11.30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 and the forestry household income applied the result of 2005 Forestry Census and the Economic survey of Forest household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97,108 households of a forester in korea 2005. Full time forestry household occupied 7,925 families (8.2%), part time forestry household occupied 88,183 families (91.8%). Therefore, the most household of a forester is part time forestry household in korea. The average people of the household of a forester family is 2.7 people. The age of forest manager are sixties nearly, over sixty years old forest manager occupied 51,505 people (53%). The forest management period of forestry households is more than 6 months in 39,229 families (40.4%), less than 1 month in 7,216 families (7.4%). The average area of forestry households owning forest is 4.6ha.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logging families possesses 19.5 ha. The mean income of forestry households is \27,148,000. One of them, forestry income is \6,529,000, which occupied 24.1%. Furthermore, forestry households less than \5,000,000 forest product sales performance occupied 51,633 families, which is 64%. Forest operating costs is \6,566,000 mean per family. In addition, the number of a forestry household resident villages is 11,829 villages, where is 32.8% of whole villages in korea. There are 2,979 villages where reside forestry household in gyeongsangbuk-do.

본 연구의 목적은 임업총조사 결과의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2005년 임업총조사와 임가경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임가 구조 및 임가 소득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는 데 였다. 분석결과,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총 임가 수는 97,108가구였으며, 이 중 전업임가는 7,925가구(8.2%), 겸업임가 88,183가구(91.8%)로서 우리나라의 임가는 대부분 겸업인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가의 평균 가구원수는 2.7명으로 농가인구와 비슷하였다. 임가 경영주의 연령은 60대가 32,628명 (33.6%)으로 가장 많았으며, 60세 이상인 경영주가 51,505명으로 전체의 53%를 차지하고 있었다. 임가 경영주의 임업종사기간은 6개월 이상이 39,229가구(40.4%)로 가장 많았으며, 1개월 미만은 7,216가구(7.4%)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보유 임가의 산림보유 평균 면적은 4.6ha 이였으며, 업종별로는 벌목업 임가에서 19.5ha를 보유하여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임가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27,148천원이었으며, 이 중 임업소득은 6,529천원으로 임가소득의 24.1%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임가의 임산물 판매는 500만원 이하인 임가가 51,633가구로 전체 임가의 64%를 차지하고 있었다. 임가의 임업경영비는 가구당 평균 6,566천원이었다. 한편, 임가가 존재하는 마을 수는 우리나라 전체 36,041개 마을 중 32.8%를 차지하는 11,829개 마을이었으며, 행정구역 중 경상북도의 2,979개 마을에 임가가 존재하여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호, 김태곤, 김배성, 이병훈. 2003. 1990. 1995.2000 농업총조사에 의한 농업구조 변화 분석 한국농촌경제연 구원 연구보고 R453 pp. i-v, 141-149
  2. 김완배, 김한호, 김기철, 남상정 외 7언. 2002. 2000년 농 업총조사 종합보고. 통계청 학술연구용역보고서 pp. 1-3
  3. 농림부. 2006. 2005년 농림통계연보 pp. 30-39
  4. 산림청. 2000. 1999 임업총조사 결과 보고서. pp. 31-49
  5. 산림청. 2005. 2005 임가경제통계. pp. 31-49
  6. 산림청. 2007. 2007 산촌생태마을조성 사업계획. pp. 2027
  7. 통계청. 2006. 2005 임업총조사보고서. pp. 14-277
  8. 통계청. 2006. 2005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보고서. pp. 44-72
  9. 農林水産省統計情報部. 1991. 1990年世界農林業 センサス結果廠要. pp. 82-121
  10. 餅田治之. 2002. 日本林業の構造的變化と再編過程(2000年林業センサス分析) . pp. 82-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