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andslide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onal Parks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 Ma, Ho-Seop (Division of Environment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 (Insti. of Agri. Llife Science)) ;
  • Jeong, Won-O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원옥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Received : 2007.03.23
  • Accepted : 2007.10.22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forest environment factors on the landslide area of 7 national park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landslide occurrence was 44 areas. The average length of the landslides scar was 152 m, average width was 17 m. And the average area was $2,818m^2$. The factors influencing landslides were highly occurred in Metamorphic rock, mixed forest type. And also, $30{\sim}35^{\circ}$ in slope gradient, NE in slope aspect, slope higher than 1,000 m, concave (凹) type in vertical and cross slope, 0 ordered stream. The main factors affecting landslide area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sheet type in landslided shape, NE in slope aspect, 2 ordered stream, SE in slope aspect, slope gradient and complex slope in cross slope type in order of regression coefficient.

우리나라 국립공원 7개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특성 및 산사태 발생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환경 인자를 분석하였다. 국립공원내 산사태 발생 수는 총 44개소였으며, 산사태 발생 길이는 평균 152 m, 평균 폭 17m, 평균 발생면적 $2,818m^2$로 나타났다. 산사태가 비교적 많이 발생한 인자는 변성암, 혼효림, 사면경사도 $30{\sim}35^{\circ}$, 북동사면, 해발 1,000 m 이상, 종단사변형은 하강사면, 횡단사면형은 오목사면, 하천차수는 산정 곡두부위인 0차 지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계별 회귀분석에 의한 산사태 발생면적에 많은 영향을 준 인자는 판상, 북동사면, 2차 하천, 남동사면, 사면경사도, 복합사면(횡단사면형) 순으로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위평, 村井 宏, 大村 寛. 마호섭 1986. 수량화(II)에 의 한 산사태사면의 위험도 판별. 한국임학회지 75: 32-37
  2. 경상북도. 2006.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연구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국립공원 산사태지 복구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4. 국립공원관리공단지리산사무소. 2003. 지리산국립공원 고 산지 경관변화모니터링
  5. 국립방재연구소. 2005. 8월 집중호우 피해조사 보고서
  6. 김명국. 1997. 경상지역의 산사태 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류택규. 1991 한국근세 과학기술 100년사(임업분야). 한국과학재단
  8. 마호섭. 1990. 지라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한 연구. 경상대 연습림연보 제l호13-25
  9. 마호섭. 1992. 지리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 한 연구(II) 경상대 연습림연보 저12호17-28
  10. 마호섭. 1994. 산지사면의 붕괴위험도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 방안, 한국임 학회지 83(2): 175-190
  11. 마호섭. 2001. 주요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특성과 복구 방향. 국립공원 제27호 17-21
  12. 박노욱, 지광훈, 장동호. 2004. 통계학적 공간통합 모델을 이용한 태풍 루사로 발생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 한국지형학회지 11(4): 69-80
  13. 산림청. 2003. 산사태 발생원인 및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14. 신은선. 199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보령 . 서천지역의 산사태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우보명, 임경빈, 이수욱. 1978. 안양지역에 있어서 깅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관한 실태조사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9: 1-34
  16. 이사로, 지광훈, 박노욱, 신진수. 2001 산사태와 지형공 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4(2): 205-215
  17. 이상희. 2005. GIS를 이용한 천층산사태 발생 예측은 위 한 수문물리모형의 적용.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이수곤. 2002. 태풍 루사에 의한 피해현황 및 대책방안 (산사태). 대한토목학회지 50(10): 40-49
  19.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 2006 로지스틴 회귀분석 빛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6(5): 861-867
  20. 임업연구원 1996.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 평가 기준 연구(III) 산사태 위험도 최종보고서
  21. 중앙재해대 책본부. 2002 태풍 루사 피해조사보고서
  22. 최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 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한국지질자윈연구원 2004 산사태 위험도 선정시스템 및 피해저감기술 개발
  24. 新谷融. 1971. 荒廢渓流における土石移動に關する基礎的研究. 北大論研報 28(2)・193 -264
  25. 志水俊夫. 1977. 花崗岩地帯の危険の安定性に關する統計 的解析. 日林誌 59(5): 186-190
  26. 水原邦夫,武居有恒. 1982, 扇狀における土砂災害の實態に關する研究 - 主として土石流による土砂の流出と 堆積の特性について. - 京都府立大學 學術硏報 34: 83-92
  27. 清水宏. 1982. 渓流における砂防計劃手法に關する研究. 北大論研報 40(1): 102-195
  28. 辰野良秋,堀内연夫,北澤秋司. 1974. 流域環境の務化と 土石流災害について. 新砂防 93: 13-18
  29. Brand, E.W. 1984. Landslide in Hongkong Special Lecture. The 8th Southeast Asian Geo. Conf. 1-15
  30. Olivier, M. and Bell, F. 1994.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 fram the Greater Durban area. proc. 7th Int. cong. IAEG. 3: 1629-1632
  31. Strahler, A.N. 1952. Dynamic Basis of Geo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l, Bulletin. 63: 923-938 https://doi.org/10.1130/0016-7606(1952)63[923:DBOG]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