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ubject of 'Automobile Engine' in Technical High School

공업계 고등학교 '자동차기관'과목의 흡·배기 장치 정비 수업에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김헌규 (수원공업고등학교) ;
  • 이상혁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07.04.30
  • Accepted : 2007.06.12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aintenance of intake and exhaust stroke education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The following null hypotheses were stated and utiliz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 and (2) the level of entering behavior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2 parts(17 students in each part) of the second grades from technical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t-test using SPSS(ver. 10)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had littl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gnitive domain but th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n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Second, learn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lower and higher ability group of students, while wasn't effective on middle ability group in the level of entering behavior.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자동차과 '자동차 기관'과목의 '흡 배기 장치의 정비'수업에서 함께 배우기 협동 학습과 전통적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협동 학습에 의해 수업을 받은 학생들과 전통적 수업 방법에 의해 수업을 받은 학생들사이에서 (1)교육 목표 영역(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 운동적 영역)과 (2)선행 학습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의 자동차과 2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 사후 검사 설계'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함께 배우기 협동 학습으로 학습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 방법으로 학습을 하여 실험 처치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유의도 수준 .05(p< .05)에서 t-검증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목표 영역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향상은 협동 학습으로 학습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 수업 방법으로 수업한 통제 집단보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효과가 없었으나, 정의적 영역과 심리 운동적 영역에서는 효과적이었다. 둘째, 선행 학습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향상은 협동 학습으로 학습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 수업 방법으로 수업한 통제 집단보다 중위 집단에서는 효과가 없었으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는 효과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1997).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20](2003).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공업계열 교육과정 운영자료
  2. 김정환(1999). 교육연구 및 통계방법. 원미사
  3. 김판욱, 류창열, 노태천, 서형업(1999).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농.공.상업계 고등학교의 이론.실습 통합교과 운영을 중심으로. 1999년 교육부위탁 연구과제 답신보고. 대한공업교육학회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4. 김호동(1996). 전문대학의 새로운 도전과 응전-공업계열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1(1), pp. 37-52
  5. 이동원(1995). 인간교육과 협동학습. 성원사
  6. 이병욱, 노태천(2001). 이론.실습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직업교육연구, 20(1), pp. 63-76
  7. 이수경, 변숙영, 박윤희(2000).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II)-교수-학습 모형개발 및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이용순(1997). 교육 개혁과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방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2(1), pp. 14-37
  9. 이용환, 정철영, 김판욱, 신황호, 윤인경, 강권영, 한지영(1998). 실업계 고등학 교 전문 교과용 도서 중 이론과 실습이 통합교과의 체제 모형 개발.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1(1), pp. 73-86
  10. 주용국, 손유미, 윤여인(2002). 직업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02-34
  11. 정성봉(2002). 실과 수업 방법론. 교학사
  12. 장성민, 김영주, 이용순, 김선태(1993). 공업계고등학교 교육체제 개편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