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its Effects of Contents for Blended Learning in Public Practical Center of Technical High School, Busan City

부산광역시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 실습소에서 혼합형 학습을 위한 컨텐츠의 개발 및 적용

  • 박재택 (부산공업고등학교) ;
  • 이상혁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07.04.30
  • Accepted : 2007.06.12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public practical center of technical high school in Busan. For this study, 1 class(3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at "B"technical high school were selected and thes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experiment group which blended learning was applied to and the other is control group which traditional lecture method was applied to.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y the level of learning abilit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for this experiment planning. The subject of experiment was the unit of "3D Modeling and Making NC code" in the textbook of "Application of Automatic System" applied by the public practical center of technical high school in Busan. On-line content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blended learning to control group. In order to analyze the test result, t-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was carried out using SPS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ost test performed on the experiment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at was, the blend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method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Second, blend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method in the group of high-leveled and middle-leveled, but was little effective on the low-leveled group. Third, blend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method in the functional domain, but was little effective in the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 실습소에 입소하는 학생들의 실기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혼합형 학습을 수업에 적용하여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 실습소에 입소하는 B공업고등학교 컴퓨터 응용 기계과 2학년 1개 학급 31명을 선정하여, A조는 혼합형 학습을 적용하는 실험 집단으로, B조는 강의법에 의해 전통 수업을 하는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 내에서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학습 능력의 수준을 상위 수준, 중위 수준, 하위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5% 유의 수준에서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집단에 대하여 이 연구를 통해 제작한 온-라인 컨텐츠를 이용하여 혼합형 학습을 적용하였다. 혼합형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대하여 학업 성취도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혼합형 학습이 강의식 수업보다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준별 학업 성취도 사후 검사 결과, 혼합형 학습은 강의식 수업에 비하여 상위 그룹과 중위 그룹에서는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그룹에서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었다. 셋째, 평가 영역별 학업 성취도 사후 검사 결과, 혼합형 학습은 강의식 수업에 비하여 기능적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헌.최우재(2004). Blended Learning형 리더쉽 훈련 평가 연구. e-HRD 소식지 14호, 한국이러닝기업연합회
  2. 김성곤(2003). 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 문학사상사
  3. 김정환(2003). 교육연구 및 통계방법. 원미사
  4. 김진수(2005).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응보출판사
  5. 배동윤.최완식(2004). 공동실습소의 활성화를 위한 blended learning 활용 수업 모형 탐색. 21세기 동아시아 공업기술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대한공업교육학회. pp. 205-210
  6. 이병욱(2004). 공업기술교과의 특성에 부합하는 e-learning에 대한 논의. 21세기 동아시아 공업기술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대한공업교육학회. pp. 185-192
  7. 이인숙(2002). e러닝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음사
  8. 임정훈.임병노.최성희(2004).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교수 학 습 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9. 홍경선(2004). 교사를 위한 e-Learning 입문. 문음사
  10. 홍성욱(2003). 하이브리드 세상읽기. 안그라픽스
  11. Judith M. Smith(2002). Blended learning: An old friend gets a new name. http://www.gwsae.org/executiveupdate/2001/march/blended.htm
  12. Kaye Thorn (2003). Blended learning: How to Integrate Online & Traditional Learning. Ingram Pub Services
  13. Mantyla, K.(2001). Blending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