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ndard Guide to Physical Oceanographic Survey of the Effect of Thermal Discharge from a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온배수 영향 해양물리분야 조사의 표준지침

  • Lee, Jae-Hak (Ocean Circulation & Climate Research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ement Institute) ;
  • Ro, Young-Jae (Dep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Yang-Ki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Institute of Marine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기후환경 연구사업단) ;
  • 노영재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조양기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e methods of physical oceanographic survey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rmal discharge from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have been reviewed and a standard guide to the survey is proposed. It is desirable that in situ observation and numerical thermal diffusion modeling are conducted simultaneously to describe the variation in temperature distribution affected by thermal discharge from a power plant because any observation or numerical modeling alone has limits to do so quantitat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field observation must be based on the concept of heat budget modeling considering all artificial and natural heat sources/sinks around the power plant. Any results from numerical modeling must reach to a certain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o use for a standar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numerical codes is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s shown in the past numerical circulation and diffusion modelling.

원자력발전소 온배수 영향 조사 과정상 문제점을 평가하고 대안으로서 조사 표준 지침을 제시하였다. 관측이나 온배수 확산 모델링 단독으로 이루어진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시간에 따른 온배수에 의한 수온 분포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관측과 온배수 확산 수치모델링의 상호 보완적인 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 관측은 원자력발전소 인근 해역의 모든 자연적 열원의 영향을 고려한 열수지 모형의 개념에 근거한 조사가 중요하며, 수치모델링의 결과를 기준 수온분포로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치모델링에 의한 현상 재현이 통계적 유의수준에 도달한 경우에 한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과거의 순환 및 확산 모델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표준코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군산대학교, 2002. 영광 5, 6호기 건설 및 가동으로 인한 고창지역 광역해양 피해조사 중간 보고서, 58 pp
  2. 노영재, 2007, 원자력 발전소 온배수 피해역 산정을 위한 영향지수 시안, 바다, 12(1): 35-42
  3. 부경대 해양과학공동연구소, 1996. 영광원전 주변 해양 환경 조사 보고서
  4.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5. 영광원자력발전소 1,2,3,4호기 온배수로 인한 어업피해조사 최종보고서 (별책)
  5.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5. 영광원자력발전소 1,2,3,4호기 온배수로 인한 어업피해조사 최종보고서. 865pp
  6.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5. 영광원자력발전소 1,2,3,4호기 온배수로 인한 어업피해조사 최종보고서(수정 및 보완본)
  7. 한국수산학회.한국해양학회, 2006. '원전온배수 관련 어업손실평가 표준지침 개발연구' 한국수력원자력(주) 연구과제보고서, 152pp
  8. 한국전력기술(주), 1992.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양환경조사 보고서 (1,2호기 가동으로 인한 영향)
  9. 한국전력기술(주), 1994. 영광원자력 5,6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10. Cho, Y.-K. T.-W. Kim, K.-W. You, L.-H. Park, H.-T, Moon, S.-H. Lee and Y.-H. Youn, 2005.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sediment temperature on a macro tidal flat: the Baeksu Tidal Flat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5: 302-308 https://doi.org/10.1016/j.ecss.2005.06.010
  11. Harrison, S. J. and A. P. Phizacklea, 1985. Seasonal changes in heat flux and heat storage in the intertidal mudflats of the Forth estuary, Scotland. J. Climatology, 5: 473-485 https://doi.org/10.1002/joc.3370050502
  12. Yanagi, T., K. Sugimatsu, H. Shibaki, H.-R. Shin, and H.-S. Kim, 2005. Effect of tidal flat on the thermal effluent dispersion from a power plant. J. Geophys. Res., 110, C03025, doi:10.1029/2004JC002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