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s of Inorganic Compounds between the Ginsengs, Keumsan, Chungnam and their Soils

충남 금산의 인삼 및 토양의 무기 원소 함량 비교

  • 송석환 (중부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유선균 (중부대학교 한방건강식품학과) ;
  • 김일출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Ginsengs (1,2 3 years) from the Keumsan are analysed for the inorganic compounds and compared with the their soils from the granite, phyllite and shale areas. In the soils, the granite areas show high $Al_2O_3\;and\;Na_2O$ contents while the phyllite areas have high $Fe_2O_3,\;MnO\;and\;MgO$ contents. Posi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Al_2O_3-K_2O\;and\;Fe_2O_3-MgO$ pairs while nega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SiO_2-CaO$ pair. In the ginsengs, the shale areas are high in the most of the elements, but low in the granite areas. Compared with same soils of different ages, Al, Na and Ti contents of the ginsengs are high in the all areas. The shale areas are mainly high in the upper parts while the granite areas are mainly high in the root parts. Regardless of the localities, Fe, Mn and Ca contents are high in the upper parts while Ti contents are high in the root parts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imes. Relative ratios between field soils and ginsengs (field soil/ginseng) suggest that the ginsengs show high Ca contents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en times whereas the soils have high Na, Fe, Ti and Al contents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imes. Regardless of the localities, the ratios of the Al, Mn and Na are high in the 2 year relative to the 3 year. Overall ratios between field soils and ginsengs are mainly big in the 2 year area relative to the 3 year area. It suggests that contents of the 3 year ginsengs are more similar to those of their soils relative to the 2 year and the ginsengs may absorpt eligible element contents with increasing ages.

토양에서 화강암 지역은 $Al_2O_3,\;Na_2O$, 천매암 지역은 $Fe_2O_3,\;MnO,\;MgO$, 혈암 지역은 $SiO_2,\;CaO$에서 높았다. 이 화강암 지역과 천매암 토양의 원소 특성은 이들 토양 중의 광물 차이를 반영한다. 상관관계에서 화강암, 천매암, 혈암 3지역 공히, 정의 관계가 $Al_2O_3-K_2O,\;Fe_2O_3-MgO$ 쌍에서, 부의 관계가 $SiO_2-CaO$ 쌍에서 나타났다. 인삼에서 동일 연생 인삼의 지역적 비교 시 2, 3년에 관계없이 혈암 지역이 높은 함량 원소가, 화강암 지역이 낮은 함량의 원소가 많았다. 즉 2년생은 천매암 지역의 Fe, Ca, 혈암 지역의 Al, Mn, Na, Ti에서, 3년생은 화강암 지역의 Mn, Na, 천매암 지역의 Ca, 혈암 지역의 Al, Fe, Ti에서 높은 값이 나타났다. 같은 지역 인삼의 연생 차이별 비교에서 3지역 공히 2년생에서 Al, Na, Ti가 높았다. 또한 화강암 지역은 2년생의 Al, Mn, Mg, Na, Ti, 3년생의 Fe, Ca에서, 천매암 지역은 2년생의 Al, Fe, Mg, Ca, Na, Ti, 3년생은 Mn, K에서 높았다. 지상부의 무기성분 함량에 대한 2, 3년의 지역 별 비교에서 혈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많았고 화강암 지역이 낮은 원소가 많았다. 2년생의 경우 화강암 지역은 Ca, 천매암 지역은 Fe, Ca, 혈암 지역은 Al, Mn, Na, Ti에서, 3년생의 화강암 지역은 Mn, 천매암 지역은 Ca, 혈암 지역은 Al, Fe에서 높았다. 상관관계에서 2, 3년생의 경우 공히 Al-Ti, Mn-Na쌍에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뿌리의 무기성분 함량에서 2년생은 화강암 지역에서 높은 원소가 많았고, 천매암 지역이 낮은 원소가 많았다. 3년생은 혈암 지역에서 높은 원소가 많았고, 천매암 지역이 낮은 원소가 많았다. 즉 2년생은 화강암의 Al, Mn, Na, 천매암 지역의 Fe, Ca, 혈암지역의 Ti에서, 3년생은 화강암 지역의 Ca, Na, 혈암 지역의 Al, Fe, Mn, Ti에서 높았다. 2년생은 화강암 지역의 Fe, 천매암 지역의 Al, Mn, Na, Ti, 혈암 지역의 Ca, 3년생은 화강암 지역의 Fe, 천매암 지역의 Al, Mn, Na, Ti, 혈암 지역의 Ca, K에서 낮았다. 지상부와 뿌리 부분 비교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수 배 차이로 Fe, Mn, Ca는 지상부가, Ti는 하부가 높았다. 지역에 관계없이 Mn, Ca, Fe, Al, Na, Ti 순서로 지상/하부 비율이 내려갔다. 토양과 인삼의 무기성분 함량관계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Ca는 수 십 배의 차이로, Mn는 수 배에서 수 십 배 차이로 인삼이 높았고, Na, Fe, Ti, Al은 수배의 차이로 토양이 높았다. 인삼과 토양의 비에서 대부분 지역이 2년생이 크고 3년생이 작았으며, 지역에 관계없이 공히 Al, Mn, Na는 2년생이 크고 3년생이 작았다. 이 결과는 인삼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 중 원소를 흡수하여, 더욱더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eer, W. A., R. A. Howei and J. Zussman. 1966. An introduction to rock-forming minerals. Longman Grpup Ltd., London pp.528
  2. Hoffaman, E.L. 1997.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in geoanalysis. J. Geochem. Explor. 44 : 297-319 https://doi.org/10.1016/0375-6742(92)90053-B
  3. 고성룡, 최강주, 김현경, 한강완. 1996. 인삼속 식물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및 유리당 함량 조성. 인삼학회지 20(1): 36-41
  4. 곽이성, 박종대, 양재원. 2003. 홍삼 효능 연구의 최근 현황과 그 전망. 식품 산업과 영양 8(2): 30-37
  5. 김동익, 김인묵, 구덕조. 1975. 인삼의 생리생태 조사 연구. 중앙 전매기술연구소 인삼시험연구보고서
  6. 김영호, 이장호, 오승환, 유인현, 이인호. 1993. 폐포지 인삼생육 과 인삼생육에 미치는 요인. 고려인삼학회지 17(1): 45-51
  7. 남기열. 1996a. 최신 고려인삼(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 구원
  8. 류기형. 2003. 국내, 외 홍삼 제품 현황 및 홍삼화 공정. 식품 산업 과영양8(2): 38-42
  9. 박명규. 1996b. 최신 고려인삼(재배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97: 184
  10. 박채규, 전병선, 양재원. 2003. 고려인삼의 화학성분. 식품산업과 영양 8(2): 10-23
  11. 박훈. 1996. 인삼 재배 분야의 과거 20년 연구. 고려인삼학회지 20(1): 472-500
  12. 배효원. 1978. 고려인삼. 고려인삼연구소
  13. 송석환, 강영립, 김일출. 2005. 금산의 화강암 및 함탄질 혈암 지 역 토양내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한국자원 식물학회지 18(2): 251-259
  14. 송석환, 민일식. 2004. 금산 지역 토양별 인삼내 비호정성 원소 특성. 고려인삼 학회지 28(1): 52-59
  15. 송석환, 이용규, 민일식. 2003. 금산 인삼의 전이원소 특성. 한국 자원 식물학회지 16(1): 25-33
  16. 이부용. 2003. 국내 인산 산업 현황 및 새로운 인삼 제품 개발전망. 식품 산업과 영양 8(2): 1-9
  17. 이용규, 송석환. 2002. 금산지역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토양수의 주요 용존 성분. 한국 환경관리학회지 8(4): 443-449
  18. 이종철, 변정수, 안대진, 조재성. 1995. 양식묘포 토양의 물리성 이 묘삼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3): 287-290
  19. 이종화, 남기열, 최강주. 1978. 고려인삼의 부위별 년근별 성분함 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학회지 10(2): 263-268
  20. 이종화, 박훈, 이정명. 1980. 고려인삼의 부위간 화학성분 분포 및 상관관계. 한국농화학회지 22(1): 99-106
  21. 장진규, 이광승, 권대원, 오현근. 1987. 고려인삼의 부위별 성분 함량. 고려인삼학회지 11(1): 84-89
  22. 정헌배, 고성군, 박성훈, 조순현, 임병옥. 2005. 주요 국가들의 인 삼 소비 실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 고려인삼학회지 29(3): 152- 158 https://doi.org/10.5142/JGR.2005.29.3.152
  23. 중부대학교 산학연. 2002. 금산 인삼 생약의 특성조사와 활용방 안. 중소기업청 지원 특정분야조사사업
  24. 최용의, 정재훈. 2003. 인삼 생물 공학 기술의 최근 동향과 이를 이용한 식품소재 응용. 식품 산업과 영양 8(2): 24-29
  25. 한국인삼경작조합연합회. 1980. 한국인삼사
  26. 홍승호, 최위찬. 1978. 금산도폭. 자원개발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