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Structure of Secheon Valley Area and Forest Vegetation Types in Mt. Sikjang

식장산 산림식생유형과 세천계곡부의 식생구조

  • Hwang, Seon-Mi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un, Chung-W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황선미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structure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by Braun-Blanquet from April to November in 2006.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23 communities and 3 forest ecosystem types such as slope forest type, valley forest type and artificial forest type. By the actual vegetation map,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are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nd Quercus variabilis forest in the southern parts of the slope and valley forest mainly in valley area,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in the Q. mongolica forest and artificial forest was absolutely high for the species dominated in tree layer. The typical valley species of Lindera erythrocarpa and Styrax japonica were abundantly occupied in the all layers.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Alnus hirsta forest was the lowest as 0.2191, and that of valley forest was about 0.9, the highest among the all forest types.

식장산의 현존식생과 입지환경을 고려한 식생조사구 총 114개소를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지림유형, 계곡림유형, 인공림유형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총 23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생 분포는 사면상부와 능선부에 신갈나무군락이, 남사면에는 소나무군락과 굴참나무군락이 각각 분포하였으며, 신갈나무군락의 점유 면적이 34,213ha로 전체 면적의 31.9%로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고 계곡림은 좁은 면적에 매우 많은 군락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계곡림 유형에서는 졸참나무, 갈참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산딸나무 등의 수종들의 층위별 중요치가 높았다. 종다양도는 인공림유형의 물오리나무군락이 0.2191로서 가장 낮았고, 계곡림 유형의 종다양도지수가 약 0.9로서 가장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길봉섭, 임양재, 김정언. 2004. 대둔산도립공원의 삼림식생의 분류와 유형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1: 109-119
  2. 고재기, 임양재. 칠갑산의 식생. 1987. 한국생태학회지. 10: 33-42
  3. 김병삼, 길봉섭, 김창환. 2002. 전북 모악산 삼림식생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15-20
  4. 김주환, 심정기, 장인수. 1997. 식장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2:85-114
  5. 김효정, 이미정, 이규석, 박관수, 송호경. 2004. 계룡산 상부 지역의 산림식생. 환경생물. 22:127-132
  6. 김현숙, 김호준, 이규석, 송호경. 2004 계룡산 동학사계곡 남사면과 북사면의 산림식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52-61
  7. 대전광역시. 2007. http://www.daejeon.go.kr
  8. 대전지방기상청. 1971-2000. 대전광역시 기상연보
  9. 박경환. 2000. 식장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pp. 57
  10. 박영순, 송호경, 이선, 이미정. 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구조와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0(3):249-256
  11. 박인협, 서영권. 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96-302
  12. 박인협, 서영권, 이석면, 이만용. 2001.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 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303-310
  13. 신준환. 1995.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전전략. 한국임학회지. 84(3):377-393
  14. 신준환. 1996. 우리나라의 생태계 구분. 산림과학논문집. 54(12):188-199
  15. 윤충원, 김인천. 2006. 식장산의 생태계와 숲의 구조. 중부지방산림청. pp. 81
  16. 이 선, 송호경. 2000.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식물 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88-98
  17. 이윤원, 이민순. 1998. 수락계곡 삼림군락의 식물 사회학적 연구. 중부대 농업생명자원과학연구논문집. 6:98-111
  18. 임종환, 신준환, 장윤호. 2004. 생태접근법의 개념과 이행 지침.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226. pp. 49
  19. 장관순. 1996. Landsat-5 TM과 수치지형례이타를 이용한 도시내 산림의 지형환경 분석-대전시를 중심으로. 환경생태학회지. 10:58-65
  20. 정용문, 방의석, 조용현, 김현숙, 송호경. 2006. 아산시 영인산의 산림군락 구조. 한국환경복원논화기술학회지. 9:60-66
  21. 중부지방산림청. 2006. 산림내계곡천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pp. 216
  22. 최영국. 1996. 자연환경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국토정보. 172(2):47-52
  23. 최두문. 1972. 계룡산의 식생연구. 백제문화. 1:23-33
  24. 최송현, 조현서, 박은희. 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37-246
  25. 한봉호. 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 계곡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38-251
  26. 황인덕. 1996 식장산의 지리.역사적 배경과 '식장(食藏)산전설'. 어문연구. 28:321-345
  27. 鈴木兵二, 伊蕂秀三, 豊原源太郞. 1985. 植物調査法. 共立 出版. 東京. pp. 190
  28. Brower I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Grown Co. Publ., Zowa. pp. 184
  29.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Y. pp. 865
  30.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1.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 (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pp. 136. Stuttgart
  32. Kim JU, YJ Yim and BS Kim. 1988. Classification and pattern analysis of the forest vegetation in Daedunsan Provincical Park, Korea. Korean J. Ecol. 11: 109-122
  33.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ach forests. PhD Dissertation of the Univ. of Vienna
  34.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USA. pp.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