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계삼, '영혼 없는 사회의 교육,' 녹색평론, 통권 84호 (2005. 9-10), p.92
- '<한경에세이〉직무유기,' [한국경제신문], 2007. 1. 28
- 정재희,청소년의 상처난 마음을 돌보기 위한 독서치료 서비스 개발 방안 연구: 중 · 고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2003), p.22
- 배정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2006. 9), p.309
- '의미있는 타인들'이란 청소년에게 중요하고 또한 의미를 가진 사람들을 의미한다. 즉 중요한 타인들은 청소년의 감각이나 무력감,그리고 가치의 증가나 감소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이다 부모들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환경에서 가장 의미 있는 타인이라고 가정할 수 있고, 학교에서는 교사와 또래 친구들이 가장 의미 있는 타인이라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회적 지지(자)원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 독서치료에 관한 자료를 조사한 윤인현의 논문(윤인현, '독서치료에 관한 자료 연구.' 독서문화연구, 제5호(2005), pp.116-139)과 2005년 이후 생산된 자료는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였다
- 김정근, '정신보건 문제와 대안적 요법.' 출판저널, 통권 354호 (2005. 5), p.141
- 윤은종 · 김희수, ‘청소년의 생활양식 유형과 정신건강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3호 (2005),pp.108-109
- 원호택 . 권석막, 이상심리학총론(서울: 학지사,2000), p.30
- 임영식 . 한상철, 청소년 심리의 이해(서울: 학문사, 2000), pp.396-397
- 임영식 . 한상철, 청소년 심리의 이해(서울: 학문사, 2000), pp.16-17
- Linda B. Hendrickson, 'The ’Right’ Book for the Child in Distress', School Library Journal. Vol.34, Issue 8 (April 1988), p.40
- 위휘, '청소년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2005. 6). p.129
- '청소년 67%, 학업이 가장 큰 스트레스,' [민중의 소리], 2007. 1. 19
- 이경희,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1995), pp.2-4
- 대처(coping)능력이란 개인이 자신의 자원에 대해서 잠재적으로 위협적이고 부담된다고 생각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응행동의 과정이고,문제해결 노력이며 인지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지지원으로서 부모 형제, 친구, 교사 등이 의미 있는 타자로서 그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주요한 사람들이다
- 사회적 지원 (social support) 이란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 결과로서 얻게 되는 긍정적인 모든 자원을 말 한다.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해주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하고, 정신적 증상을 예측할 수 있고 정신질환에 대한 노출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상황에 잠재되어 있는 유해적 영향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구자경,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학교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제11권,제2호 (2004), pp.218-219
- 정현희 외, '청소년문제 예방을 위한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 한국임상심리학회, 학교정신보건사업의 현황과 미래. 1997, p.42
- 성장환경이란 개인이 성장과정에서 경험하는 인간적 및 비인간적인 외적 조건의 총합을 의미하며, 가정과 가족관계를 통한 가정적 성장환경과 학교 직장,친구관계 등 가정외적인 사회적 성장환경으로 나뉘어 진다. 성장환경에는 또한 물리적 환경(물질적, 신체적, 경제적 조건)과 심리적 환경(인간 상호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과정)이 모두 포함되며,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4호(2003). pp.147-148)
- 최보문,'아동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창립총회 및 기념학술대회, 1996, pp.122-123
- 반금현,집단적 독서요법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개념 향상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2001), p.42
- 윤정옥,'독서요법의 이론과 적용.' 도서관, 제53권, 1호 1998. 봄),p.48
- 박성희,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서울: 학지사, 2001). 박성희, 논어와 상담(서울: 학지사 2007), p.16에서 재인용
- 정현희 외, '청소년문제 예방을 위한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 한국임상심리학회, 학교정신보건사업의 현황과 미래. 1997, p.44
- 김정일, '교사가 주는 스트레스,' (중등)우리교육,1997, 7, p.65
- 니콜 파브르,상처받은 아이들: 유년기의 상처를 말하고, 이해하고 극복하기, 김주경 옮김(서울: 동문선,2003), pp.33-36
- 김정일, '교사가 주는 스트레스,' (중등)우리교육, 1997, 7, pp.67-69
- 김정근, '자가치유서(Self-Help Books)의 발견,' 출판저널, 통권 제353호(2005. 4), p.138
- 한국도서관협회,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성인편(서울: 한국도서관협회,2004), p.7
- 우리나라 최초로 나온 상황별 독서목록인 한국도서관협회의 상황별 독서목록-아동 및 청소년용-(한국도서관협회,1999)에서는 '독서상황'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참고하여 '어떤 사람이 책을 읽거나 읽고자 할 때 처해 있는 정신 및 신체적 상태나 조건 혹은 사회적 입장이나 여건'이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이는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보다는 훨씬 평이하고 단순한 것이라 볼 수 있다.(한국도서관협회,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성인편(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4, p.6)
- 한윤옥,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II,'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 (2004.9), p.253
- 한국도서관협회,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청소년, 어린이편(서울: 한국도서관협회,2005)
- 대한소아 . 청소년정신의학회 학교정신건강위원회, 청소년 그리고 정신과 의사와의 만남: 부모 . 교사 . 청소년 전문가를 위한 청소년 사례집(서울: 하나의학사,2003), p.20
- 홍광식 . 荒木紀幸, '교사 스트레스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의 초 . 중 . 교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Vol.13, No.3(1995. 8), pp.259-260
- 이나미, '교사가 받는 스트레스,' (중등)우리교육, 1997, 7, pp.71-74
- Linda B. Hendrickson, 'The 'Right' Book for the Child in Distress', School Library Journal. Vol.34, Issue 8 (April 1988), pp.40-41
- 김정근, '치료사(bibliotherapist)는 누구인가,' 출판저널, 통권 347호 (2004.10), p.129
- 이 세 과정은 김정근 교수가 고안한 것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과 평생교육원, 그리고 '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연구실'(책 . 정 . 연)에서 임상 활동하는 진행자들이 모두 이 활동을 도입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있다
- 김수경, 주부의 마음상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6), pp.79-83
- 김수경, '주부의 마음상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35권, 제2호 (2004. 6), p.296
- 황금숙,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4권. 제2호(2003. 12), p.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