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ion Studies and Panel Survey : The 2006 Korean Local Elections

선거연구와 패널 여론조사 : 2006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 김장수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central issues of election studies and in this contort, suggests the panel survey method as an alternative to general opinion surveys. In doing so, it also explains the advantages and benefits that a panel survey provides, and discusses the weakness of the 2006 panel survey. East Asia Institutes, constructing the consortium which includes JoongAng Ilbo, SBS, and Hankook Research, traces the change in voting decisions during the 2006 Korean Local Elections. Four regional panels, focusing on the gubernatorial elections in Seoul, Pusan, Kwangju, and Chungnam, enable researchers to study the critical issues of election studies such as the causal relations among a set of voting determinants, the impact of campaig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loating voters.

본 논문은 선거연구의 핵심적 쟁점을 설명하고 이와 관련하여 일반여론조사의 대안으로 부상한 패널 여론조사의 장 단점을 논의한다. 패널 여론조사는 개별투표결정요인의 역동성은 물론 요인간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일반여론조사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간주된다. 이의 구체적인 사례로 5 31 지방선거 패널조사의 기획과정과 결과를 보고한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중앙일보, SBS, 한국리서치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5 31 지방선거에서의 민심의 변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선거와 관련한 최초의 체계적인 패널조사를 시도하였다. 지역 패널의 경우 서울, 부산, 광주, 충남의 4개 지역 광역단체장 선거를 중심으로 투표결정요인 간의 인과관계, 선거운동의 영향력, 부동층 등 선거연구의 핵심 쟁점에 대한 분석을 가능케 하는 자료를 구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