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orytelling Model of Computer Games - Focused on Analysis of Starcraft by Greimas's Schema of Narrative Theory

컴퓨터게임의 스토리텔링 모델 - 그레마스의 설화도식을 이용한 스타크래프트 분석을 중심으로

  • 박태순 (호남대학교 게임애니메이션학과)
  • Published : 2007.04.28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ct a storytelling model of computer games by using the Greimas's schema of narrative. Analysis target is multi-play of Starcraft, which has the non-linearity and interactivity. As a result, the process of manipulation and sanction, occurred in epistemological level at very short time and the process of competence had lots of small schema of narratives and repeated that small narratives. This model may be applied to other games, because it looks that most of games have very short process of manipulation and sanction at epistemological level and have long process of competence as main game play.

그레마스의 설화도식은 언어텍스트뿐만 아니라 비언어텍스트의 스토리텔링 모델로서 유용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컴퓨터게임에 대한 스토리텔링 모델 구축을 도모해본다. 대표적으로 비선형성과 상호작용성을 지니고 있는 스타크래프트의 멀티플레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조종과 상벌단계가 단축된 형태로 나타나며, 역량 단계에서 많은 소 설화도식들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모델은 여타 게임장르에도 일반화가 가능하다고 보인다. 서술적인 언어로서 조종과 상벌을 묘사하는 일반적인 텍스트에 비해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들이 묘사차원이 아니라 이용자의 인식적 차원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고, 중요한 게임플레이는 역량의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