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hitosan, Grain Amino Acid and Wood Vinegar Foliar Spray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Grapes(Campbell Early)

키토산, 곡물아미노산, 목초액의 엽면살포가 포도(Campbell Early)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Ju, In-Ok (Jinan Medicinal Herbs Experiment Station,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Jung, Gi-Tai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eong, Seong-Soo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Moon, Young-Hun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Ryu, Jeong (Jinan Medicinal Herbs Experiment Station,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oi, Joung-Sik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주인옥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 정기태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 정성수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 문영훈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 류정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 최정식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Sprays containing chitosan, grain amino acids, or wood vinegar, were applied to vine leaves of the Campbell Early grape variety, and effects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grapes were investigated. Weights of grape clusters and individual bemi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values seen when traditional agnicultural chemical treatment was used. The percentage of clusters over 300g in weight was, however, higher after spraying with chitosan, grain amino acids, or wood vinegar, than after agricultural chemical treatment, Grape moisture contents, levels of soluble solids, and reducing sugar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when the traditional treatment and the newer sparys were compared. Among minerals, the levels of potassium, iron and zinc measured in fresh grapes were increased by the clitosan, grain amino acids, and wood vinegar spray. After 8 weeks of MA storage, reducing sugar levels decreased, and titratable acidities increased, compared to levels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storage. This was true regardless of the method of vine treatment the hardness of berries decreased slightly over 4-6 weeks of storage, and increased thereafter. The weight losses of grapes were relatively low(0.28-0.35%) on storage after any vine treatment tested. Grapes from vines sprayed with chitosan or grain amino acids showed a lower decay rate than did fruit from vines that had received a traditional agricultural chemical treatment.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rketability of grapes from vines treated with traditional agricultural chemicals was better than that of grapes from vines sprayed with chitosan, grain amino acids, or wood vinegar.

포도 생육 중 유기농자재의 엽면살포가 포도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농약 처리와 비교하였다 포도의 과방중과 열과 발생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키토산, 목초액, 곡물아미노산 처리에 의하여 과방중 300g이상과의 비율이 농약처리나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유기농자재를 처리한 포도의 당도와 환원당은 각각 $15.0\;^{\circ}Brix$, 13.0-14.5%로 농약처리 $14.5\;^{\circ}Brix$, 13.1%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총산함량은 키토산(0.81%)과, 목초액(0.78%) 처리가 농약(0.72%)처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높았고 유기농자재 처리(190.0-197.2mg%)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중금속은 철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키토산 처리에 의하여 철과 아연 함량이 증가하였다. 유기농자재 처리 포도를 8주간 MA 저장했을 때 수분감모율은 0.28-0.35%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저장 전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총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저장 4-6주까지 감소하다 이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탈립률은 곡물아미노산과 농약 처리가 각각 10.9%, 11.8%로 가장 낮았으며, 부패율은 키토산과 곡물아미노산 처리가 각각2.2 3.7%로 농약 처리 4.8%에 비하여 낮았고, 상품성은 농약 처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의 유기농재배에 있어서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키토산, 곡물아미노산, 목초액을 엽면살포 했을 때 과실의 성분 등 품질은 농약 처리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었으나 포도의 과방중에 의한 등급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저장했을 때 저장성은농약 처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곡물아미노산이 농약처리와 가장 비슷한 수준의 저장성을 보였다.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교육방법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영역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고, glutathione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32). 이상의 실험결과 모과에탄올 추출물은 in vivo와 in vitro 연구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모과가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찌는 법${\lrcorner}$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 견육요리의 전처리에 있어서 씻는 과정은 내장만 씻고 고기는 씻지 않는 것(52.6%)이 전부를 씻는 것(26.3%)보다 많았고, 내장을 많이(42.1%) 이용하였으며 익히는 과정에서는 거의 쪄낸 후(84.2%) 나름대로의 요리를 만들었고 삶어서 이용한 것은(9.0%) 거의 없었다. 3) 전체 견육요리에 이용된 양념은 22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유장(42.1%), 참깨가루(39.4%), 후추가루(36.8%), 식초(36.8%), 간장(28.9%), 고춧가루(26.3%), 참기름(23.6%), 만초가루(23.6%), 천초가루(23.6%) 등이고, 부재료는 5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파(파의 흰부분과 합함 34.2%)와 미나리(21.0%)이다.,\;CaCl_2$를 농도별(0.02-0.1M)로 첨가하여 pH7, $100^{\circ}C$에서 반응시켜 갈변 억제효과를 비교한 결과 0.1M을 첨가하였을 때 $Na_2SO_3$$NaHSO_3$는 76.8%, $CaCl_2$는 96.4%의 억제호과를 나타내었다.c artery variation occurred, all

Keywords

References

  1. 염종현 (2004) 친환경농산물과 관행농산물의 품목별 생산비 비교. 유기농업연구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1-6, Chungju, Korea
  2. Yoon, S.W. and Park, Y.B. (2000) An analysis of Korean consumer on organic farming products. Korean J. Organic agriculture, p.35-52
  3. Hadwiger, L.A. and Beckman, J. (1980) Chitosan as a component of Pea-Fusarium solani interactions. Plant Physiol., 66, 205-211 https://doi.org/10.1104/pp.66.2.205
  4. Kim, S.H., Choi, D.H., and Yun H.B. (1999)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practical-use materials and effects of them on crop cultivation in organic-naturqal farming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p.5-49
  5. Lee, Y.S., Park, R.D. and Rhee, C.O. (1999)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grow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3-157
  6. Uhm, M.J., Park, H.C., Moon, Y.H., Kim, K.C. and Han, S.G (2002) Effect of chitosan and wood vinegar on the growth and nutrient absorption of red pepper( Capsicum annum L.). J. Bio-environment Control, 11, 67-73
  7.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농촌진흥청, p.367
  8. Yun, S.D., Lee, S.K. and Ko, K.C. (1995) Effect of cultivars and various treatments on storability of grapes. J. Korean Soc. Hort. Sci., 36, 224-230
  9. 조현정, 허승일, 연영자, 신동두, 김중환 (2000) 농산물 표준출하 등급규격 자료 조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보고서, p.40-74
  10. Lee, S.R. (1993) Food safety and toxicology.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151-163
  11. Yun, S.D. and Lee, S.K., (1996) Effect of ethylene removal and sulfur dioxide fumigation on grape quality during MA storage. J. Korean Soc. Hort. Sci., 37, 696-699
  12. Lee, Y.S. and Park, Y.C. (1996) Effects of Various Packing Methods on freshness of grape fruit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Report of Research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p.111-116
  13. Nam, S.Y., Kim, K.M., Lee, Y.S. and Jong, S.K. (1997) Effect of PE film packing on storage of 'Kyoho' grape. J. Horti. Sci., 40, 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