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과의 관계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Subjects were 135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at a Center for Scienc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alented divisions according to science related attitudes. But the score of th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i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Some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Also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mong 'career interest in science' domain, 'leisure interest in science' and 'social implication of science.'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에 대해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강생 135명을 대상으로 했고 검사도구는 TOSRA 와 자기주도적 학습력 검사지 중 일부를 사용했다. 물리, 화학,생물,지구과학,수학, 정보과학의 6개 재능영역별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전략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습동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나 학습동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동기와 학습전략,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각 영역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과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이 다른 영역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과학 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킴으로써 향후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교수전략들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대, 강순민, 임재항 (2006).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2. 노태희, 전경문, 최용남 (1997). 중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와 태도 성취욕구, 학습전략 사이의 관계 조사. 화학교육, 24, 280-286
  3.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 (2000)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 173
  4.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 분야 과학 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67-275
  5. 안계원, 정영란 (1996). 중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과학 성적, 과학 탐구능력,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10-416
  6.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 (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 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7. 이미경, 정은영 (2004). 한국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8. 이석재 (2003).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한국교육개발원
  9. 임청환 (1995). 국민학생과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 된 태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194-200
  10.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1990). 진로 성숙도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조현주, 김영민 (2006). 학생의 과학적 재능과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59-567
  12. 허명 (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3. Gagne, F. (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mmg to exceptional human ability. In K. A. Heller., F. J. lvl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ed, pp. 69-87
  14. Marsh, H. W.(1990). Causal Ordering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 rnultiwave, Longitudinal Pane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646-656 https://doi.org/10.1037/0022-0663.82.4.646
  15. Oliver, J. S.(l986). A Longitudinal Study of Attitude, Motivation and Self-concept as Predictors of Achievement and Commitment to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6. Plucker, J. A.(1996). Secondary Science and l'vlathematics Teachers and Gender Equity : Attitudes and Attempted Interv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7), 737-751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9)33:7<737::AID-TEA3>3.0.CO;2-O
  17. Reid, C, & Romanoff, B. (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 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18. Zimrn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329- 339 https://doi.org/10.1037/0022-0663.81.3.329
  19. Zimrrerman, B. J., & Martirez-Pors, M.(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