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lization of Constructivistic Science Teaching of Scien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ve Program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학 교사의 구성주의적 수업에 대한 내면화 과정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ternalization of constructivistic science teaching who participated in a collaborative program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designed by researchers according to constructivist views. The program consisted of lecture, workshop, and small group activities. New trends in science education and framework for science teaching were introduced during lectures, and understanding about the framework were deepened by analyzing school science classes recorded during workshops. In small group activities, participating teachers and researchers cooperated to design science lesson plans using science teaching frameworks. Fiv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workshops. Collaborative programs were video-tap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workshops. All data recorded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participating teachers attended on different parts. Various and discernable factors such as there own background, beliefs, values, and school context produced tensions with or facilitated internalization of constructivistic science teaching. Teaching experiences and student understanding affected teachers' lesson planning activities. Teachers also showed different understandings on inquiry, application, and model from the framework, and they interpret those concepts in the framework based on their prior understanding. They perceived that too much content should be dealt within relatively limited time. Therefore, they tended to separate science class into two parts when developing science lessons: explaining science content by lecture and science laboratory as a constructivistic ac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constructivist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연구진들이 구성주의적 원리에 따라 설계한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들이 구성주의적 수업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은 강의와 워크숍 및 소집단 활동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강의에서는 과학교육계의 동향 및 과학수업 프레임웍을 소개하고,워크숍에서 녹화된 실제 과학 수업 분석을 통하여 프레임웍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소그룹 활동에서는 연구자와 참여 교사가 협력하여 프레임웍을 적용한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지구과학을 전공한 4명의 중등 과학 교사가 자발적으로 워크숍에 참여하였다. 협력적 연수 프로그램은 전 과정을 녹화하였으며,반구조화된 면담을 연수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녹음 및 녹화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프레임웍을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대상이 서로 달랐으며,다양하고 구별되는 교사의 경험과 교육 신념,교육 현실인식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내면화 과정에서 갈등을 일으키거나 또는 그 과정을 촉진하였다. 수업 설계시 고려 요소를 결정하는 데에는 교사의 수업 경험과 학습자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참여 교사들은 주로 논의되었던 '탐구','적용', '모델' 등의 개념에 대해서 일상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거나,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개념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참여 교사들은 수업 시간에 비해서 기르칠 내용이 과다하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수업 모듈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내용은 강의식으로 전달하고,실험은 구성주의적 방식으로 설계하는 등 수업 구조를 이분화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주의적 교사 연수와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김호영 (1998)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교사연수프로그램.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14(1),1-32
  2. 구인환 (1998), 문학교육론. 삼지사
  3. 권홍진, 김찬종, 최승언 (2006).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지향과 실행: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89-301
  4. 김민환, 김동엽 (1997). 교사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인지적 접근의 의의. 한국교사교육, 14(2), 18-36
  5. 김병찬 (2002). 구성주의적 교사양성교육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수현 (1999). 과학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계속 프로그램의 평가 준거 요소.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영신(2003). 예비 과학 교사가 탐구 점수표에 따라 분석 한 현장 과학수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61-573
  8. 김정화 (2003).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형성 과정. 한국교사교육, 20(2), 97-120
  9. 김정희, 강용원 (2003). 교사의 전문적 능력개발을 위한 현직연수제도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3), 411-436
  10. 김찬종 (2007). 과학교사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술발표회 주제 발표, 한국교원대학교
  11. 김찬종, 맹승호, 차현정, 박영선, 오필석 (2006). 과학 교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기적 근접발달영역에 비추어 본 초임 과학 교사와 경력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25-439
  12. 노명완 (2001). 중등교육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45-68
  13. 박채형 (2002). 교과의 내면화 과정에 비추어 본 교과교육의 근본적인 난점과 그 해소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0( 1), 53-273
  14. 박헌, 조정일 (1999)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안적 현직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STS/구성주의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19(2), 340-352
  15. 송유진 (2005). 가치 내변화 중심의 소설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선기현 (2003). 구성주의 교육활동을 통한 교사학습자들의 신념변화 연구. 한국교사교육, 20(2), 151-173
  17. 신옥순 (1997).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연구를 위한 기초. 초등교육연구, 11, 229-344
  18. 안부금 (2003).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1), 27-52
  19. 안유민, 김찬종, 최승언 (2006).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수업에서 과학 내용의 전개 방식과 내용 이해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6), 691-702
  20.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 권용주, 정재구, 서지혜, 이혜정 (2004). 초등 과학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3), 585-582
  21. 원효헌, 김미옥(2003). 교사 자기평가에 의한 교수 활동 수행 수준의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0(3), 179-201
  22. 이영식, 김대성 (1998). 내면화 이론과 초등학생의 자기조절 학습 전북대학교, 교육논총, 18, 65-85
  23. 이홍우 (2004). 교과의 내면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아시아교육연구. 1(1), 249-271
  24. 이회원, 김영수 (2004). 과학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 관한 평가 준거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348-359
  25. 조정일, 윤수미 (2004). 구성주의 과학 교사를 만들기 위한 장기적인 현직교육의 한 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32-648
  26. 최승언, 곽영순 (2000). 모범적인 구성주의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62, 126-147
  27. 최용선 (2000). 문학작품 수용에서 주제 내면화 방법 연구 : 읽기 교과서 동화를 중심으로.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최용제 (1999) 작문 전략의 내면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진영, 송경오 (2005). 사회과 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연수 특징 분석 : 교사연수의 내용 및 방법 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8(2),411-430
  30. Anderson, C. W. (2004). Conceptual framework for Knowles analysis. Unpublished document: Michigan State University
  31. Corcoran, T. B. (1995). Trarsform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 A guide for state policymakers.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32. Fenstermacher, G. D., & Richardson, V. (1993). The elicitation and reconstruction of practical arguments in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2), 101-114 https://doi.org/10.1080/0022027930250201
  33. Roden, R. E. (2001). Research on effects of teaching: A continuing model for research on teaching. In V. Richard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4th ed., pp. 3-16).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34.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35. Lortie, D. C. (1975). School teacher: a sociololgical study. 진동섭 역(1996).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양서원
  36. Loucks-Horsley, S., Hewson, P. W., Love, N., & Stiles, K. E. (1998).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Corwin Press, Thousand Oaks: Sage
  37. Meijer, P. (1999).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in Secondary Education. Leiden; University of Leiden
  38. eissner, W. W. (1981). Internalization in psychoanaly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9. Mintzes, J.J., & Wandersee, J. H. (1998). Reform and innovation in science teach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In J. J. Mintzes, J. H. Wandersee, & J. D. Novak (eds.),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pp, 29-58). San Diego, California: Academic Press
  4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 National Academic Press
  41. Richardson, V. (Ed) (1997). Constructivist teacher education. Bristol: Falmer Press
  42. Shin, M. (2000).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owa Chautauqua staff development model for reform of science teaching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43. Shin, M. (2000).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owa Chautauqua staff development model for reform of science teaching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44.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45.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역(2000). 질적 사레 연구. 서울: 창지사
  46.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37::AID-TEA1001>3.0.CO;2-U
  47. Vygotsky L. S. (1978). lvl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조희숙, 황해익, 허정선, 김선옥 역(2000). 사회 속의 정신: 고등심리과정의 발달. 서울:양서원
  48. Webb, D.C, Romberg, T.A., Ford, M.J., & Bunil1, J. (2005). Teacher collaboration: Focusing on problems of practice. In T.A. Romberg & T.P. Carpenter (Eds.), Understanding mathematics and science matters (pp. 231-25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