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ctive Problem Solving Model(SPPE)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in Problem Solving Activities

활동적인 문제해결 모형(SPPE) 개발 및 중학생들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인식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models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in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to get implications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science education. We took the position of problem solving as consisting of four sequential stages: search of problems, performance of the plan, presentation of results, and evaluation of the presentation. Taking into account thechosen activity factors for each stage of problem solving, we developed detailed activity tools that are supposed to guide the stage. Recognition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7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ositive. Students felt that problem solvingactivities made them engage more and interested in science classes, and that they were helpful in solving problems in everyday life. Even though they found real problems in everyday life, they preferred problem solving activities to deal with real problems rather than simple minded ones.

이 연구는 우리 과학수업환경에 적합한 문제해결 모형 및 학습자의 문제해결 활동 단계를 안내하는 활동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과학수업에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IDEAL, CPS, SSCS 문제해결 모형을 고찰하여, 문제해결 단계를 문제탐색, 계획실행, 결과발표, 발표평가 등의 4단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제해결 단계별 활동요소를 선정하여 각각의 문제해결 단계를 안내하는 활동도구를 각각 개발하였다.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과학수업에 개발한 문제해결 모형 및 활동도구를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문제해결 활동은 과학수업에 더 참여적이고, 흥미를 갖게 하며,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문제해결 활동은 중학생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데 유용한 교수학습활동이며 또한 실생활 소재의 문제해결 활동은 생활 주위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르는데 유용한 교수학습활동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충렬, 이용애 (2001).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델 의 초등학교 수학교과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8(2), 1-23
  2. 김수경, 차희영, 김중복 (2005). 과학 탐구능력 향상 을 위한 실생활 소재 모듈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54-764
  3. 김혜심, 이은경, 강성주 (2006). 실생활 소재 탐구 실험 형태에 따른 학생 -학생 상호작용에서의 학습 접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6-24
  4. 노태희, 김동연, 김혜경, 홍은경, 강석진, 채우기, 노석구 (1997). 문제해결식 교수 방법이 학생의 성취도, 과학 과정 기술, 과학 활동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45-53
  5. 박정환, 우옥희 (1999). PBL(Problem-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15(3), 55-81
  6. 박종욱, 강기화, 강석진, 노태희 (1998).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서 문제 해결식 수업 모형의 효과. 화학교육, 25(3), 118-126
  7. 오경진, 임성민, 박승재 (2000). 스포츠 체험 활동이 중학생의 '힘과 운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71-383
  8. 윤덕근,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 (2004) . 과 학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 물 실험 모듈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56-564
  9. 이순미, 이경애 (2002). 실과 생활기술영역에서 Parnes 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적용이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제 17집, 203-222
  10. 정미경, 김지은 (1999).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 결 수업모형의 실과적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12(1), 1-14
  11. 조규락 (2002). 논증 스캐폴드와 문제의 유형이 논 증의 질, 문제해결 성취도 및 집단의 효과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18(3), 55-82
  12. 조연순, 최경희 (2000) .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29-343
  13. 조연순, 이혜주, 백은주, 임현화 (2003). 문제 중심 학습(PBL)을 위한 문제개발 절차 연구: 초등과학 교과 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 21(3), 215-242
  14. 조오근, 김영민 (2006) . 놀이기반탐구 ( PBI) 상황에서 물리탐구학습자료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143-154
  15. 최성희, 이인경 (1999). 문제중심학습의 실천적 모 형탐색: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37(3), 247-277
  16. Bransford, J. D., & Stein, B. S. (1984). The IDEAL problem solver. NY: Freeman
  17. Hayes, J. R (1989). The complete problem solver(2nd ed.),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8. Isaksen, S. G., Treffinger, D. J., & Dorval, K B. (1994).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NY: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19.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20. Osborn, A.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NY: Charles Scribner's Sons
  21. Parnes, S. J. (1975). CPSII-A program for balanced growth.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9, 24-29
  22. Pizzini, E. L., & Shepardson, D. P. (1989). A Rationale for and the development of a problem solving model of instruction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3(5), 523-534 https://doi.org/10.1002/sce.3730730502
  23. Shepardson, D. P., & Pizzini, E. L. (1993). A comparison of student perceptions of science activities within three instructional approach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3), 127-1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09.x
  24. Torp, L., & Sage, S. (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for K-16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SCD)
  25. Treffinger, D. J. (1995). Creative problem solver's guidebook. Florida: Center for Creativ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