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강판의 해석모델에 따른 좌굴 및 소성거동 평가

Estimation of Buckling and Plastic Behaviour according to the Analysis Model of the Stiffened Plate

  • 고재용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 오영철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 박주신 (오사카대학원 선박해양공학과)
  • Ko, Jae-Yong (Faculty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Oh, Young-Cheol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Park, Joo-Shin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Osaka University)
  • 발행 : 2007.04.30

초록

선체구조는 기본적으로 판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판부재의 하중분담 능력 혹은 최종강도 평가는 선체구조의 합리적인 설계 및 구조의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아주 중요하다. 또한, 선체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요소들은 작용외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연속거동을 하게 된다. 실제 선박에서의 붕괴형태 중 한가지는 종방향 굽휨에 의해서 갑판 혹은 선저부에 좌굴 및 소성붕괴이다. 그래서, 합리적인 설계에서는 이러한 급작스런 붕괴형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좌굴 및 소성붕괴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실제 선박에서는 갑판부와 선저부에서는 하중분담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여러개의 종보강재를 가진 보강판 구조의 설계를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체 판넬구조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최종강도 거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모델링영역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용된 해석 모델은 실제 상선의 이중저구조에서 사용되는 판넬에서 채택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시 3가지 단면형상에 대해 각각 6가지 서로 다른 해석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보강재의 단면형상을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선체 보강판구조에서 해석영역에 대한 좌굴 및 최종강도 거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Ship structures are basically an assembly of plate elements and estimation load-carrying capacity or the ultimate streng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estimated safety assessment and rational design on the ship structure. Also, Structural elements making up ship plated structures do not work separately against external load. One of the critical collapse events of a ship structure is the occurrence of overall buckling and plastic collapse of deck or bottom structure subjected to longitudinal bending. So, the deck and the bottom plates are reinforced by a number af longitudinal stiffeners to increase their strength and load-carrying capacity. For a rational design avoiding such a sudden collaps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buckling and plastic behaviour or collapse pattern of the stiffened plate under axial compression. In this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effect af modeling range, the finite element method are used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varying the analysis ranges. When making the FEA model, six types of structural modeling are adopted varying the cross section of stiffener. In the present paper, a series of FEM elastoplastic large deflection analyses is performed on a stiffened plate with fiat-bar, angle-bar and tee-bar stiffeners. When the applied axial loading, the influences of cross-sectional geometries on collapse behaviour a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examined to numerically cal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buckling and ultimate strength behavior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ship's stiffened plate subject to axial loading.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주신, 고재용, 오경근(2006), "유공보강판의 좌굴 및 극 한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6호, pp.439-446. https://doi.org/10.5394/KINPR.2006.30.6.439
  2. 박주신, 고재용, 이준교(2005), "종, 횡방향 압축하중을 받는 유공판의 좌굴을 고려한 최종강도 설계식개발", 항해항만학회지.
  3. ANSYS Inc(2000), ANSYS theory manual - "Nonlinear buckling problem". Chapter 3. Part4. pp. 120-132.
  4. Smith, C. S.(1975), "Compressive Strength of Welded Steel Ship Grillage", Transactions of the Royal Institution of Naval Architects, Vol. 117, pp. 325-359.
  5. Tanaka, Y. and Endo, H.(1988), "Ultimate strength of stiffened plates with their stiffeners locally buckled in compression", J.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Japan, Vol. 164, pp. 456-467.
  6. Paik, J. K., Lee, M. S., and Kim, B. J. (2001), "Ultimate limit state design of ship stiffened panels and grillages", Trans. SNAME, Vol.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