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임프린트를 이용한 바이오칩용 나노 패턴 제작

Fabrication of Nanopatterns for Biochip by Nanoimprint Lithography

  • 최호길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 김순중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 오병근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 최정우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Choi, Ho-Gil (Department of Chemical & Biomolecular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
  • Kim, Soon-Joong (Department of Chemical & Biomolecular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
  • Oh, Byung-Ken (Department of Chemical & Biomolecular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
  • Choi, Jeong-Woo (Department of Chemical & Biomolecular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 발행 : 2007.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500 nm line, 600 nm pore, $1{\mu}m$ pore, $2.5{\mu}m$ pore의 마이크로 수준에서 나노 수준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nanopore 형태 패턴을 제작하였다. Thermal imprint 방식과 달리 상온, 저압에서 임프린팅이 가능하며 사용되는 스탬프의 수명을 늘리고 보다 미세하고 복잡한 형태의 패턴을 제작할 수 있는 UV-assisted imprint 방식을 사용하였다. E-beam lithography로 패턴을 각인한 quartz소재의 스탬프를 사용하였으며 스탬프의 재질이 투명하여 UV 조사시 UV curable resin이 경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탬프의 표면을 (heptadecafluoro-1,1,2,2-tetrahydrodecyl) trichlorosilane의 monolayer 층으로 미리 코팅하여 임프린트 후 스탬프와 기판과의 releasing을 쉽게함과 동시에 패턴의 일부가 스탬프에 묻어 나와 전사된 패턴에 defect가 없도록 하였다. 또한, gold를 미리 증착하여 임프린팅함으로써 lift-off 시에 필요한 hi-layer 층이 필요 없게 되어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칭이 더욱 쉽고 lift-off 공정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나노임프린트 공정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잔여층의 생성이며 이러한 잔여층을 제거하고자 산소 플라즈마 에칭을 하였다. 에칭공정을 통해 gold의 표면이 완전히 드러났으며 산소 플라즈마를 통해 gold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바뀌어 추후 단백질 고정화를 더욱 쉽게 하였다. 그리하여 나노임프린트 기술을 이용해 나노크기의 바이오소자 제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A constant desire has been to fabricate nanopatterns for biochip and the Ultraviolet-nano imprint lithography (UV-NIL) is promising technology especially compared with thermal type in view of cost effectiveness. By using this method, nano-scale to micro-scale structures also called nanopore structures can be fabricated on large scale gold plate at normal conditions such as room temperature or low pressure which is not possible in thermal type lithography.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in fabricating biochips, immobilizing, was processed successfully by using this technology. That means immobilizing proteins only on the nanopore structures based on gold, not on hardened resin by UV is now possible by utilizing this method. So this selective nano-patterning process of protein can be useful method fabricating nanoscale protein chip.

키워드

참고문헌

  1. G. M. Wallraff and W. D. Hinsberg (1999), Chem. Rev. 99, 1801 https://doi.org/10.1021/cr980003i
  2. Y. Xia, J. A. Rogers, K. E. Paul, and G. M. Whitesides (1999), Chem. Rev. 99, 1823 https://doi.org/10.1021/cr980002q
  3. S. Y. Chou, P. R. Krauss, and P. J. Renstrom (1996), Science 272, 85 https://doi.org/10.1126/science.272.5258.85
  4. K. Y. Suh, Y. S. Kim, and H. H. Lee (2001), Adv. Mater. 13, 1386 https://doi.org/10.1002/1521-4095(200109)13:18<1386::AID-ADMA1386>3.0.CO;2-X
  5. Y. Xia and G. M. Whitesides (1995), J. Am. Chem. Soc. 117, 3274 https://doi.org/10.1021/ja00116a033
  6. E. Schaffer, T. Thurn-Albrecht, T. P. Russell, and U. Steiner (2000), Nature 403, 874 https://doi.org/10.1038/35002540
  7. S. Y. Chou, P. R. Krauss, and P. J. Renstrom (1995), Appl. Phys. Lett. 67, 3114 https://doi.org/10.1063/1.114851
  8. S. Y. Chou, P. R. Krauss, and P. J. Renstrom (1996), J. Vac. Sci. Technol. B 14(6), 4129 https://doi.org/10.1116/1.588605
  9. J. Haisma, M. Verheijen, and K. Heuvel (1996), J. Vac. Sci. Technol. B 14(6), 4124 https://doi.org/10.1116/1.588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