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gradation of Natural Dyed Silk Fabrics under Ultraviolet Light(UV) -Focused on Gardenia and Sappanwood-

자외선에 의한 천연 염색 견직물의 취화 연구 -치자, 소목 염색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of silk fabrics dyed with gardenia and sappanwood by Ultraviolet Light(UV). To asses the effect of uv on dyed silk fabric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amples were explored. K/S value rapid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Mordanting improved ultraviolet-cut ability and the sappanwood dyed samples were superior to those of gardenia dyed in ultraviolet-cut ability. Color progressively faded away as uv exposure time increased, accordingly, $L^*,\;a^*,\;b^*$, H/VC, ${\Delta}E$ were changed. Morphological change observed with SEM represented degradation of silk fabrics from the outer fibril to the inner fibril. Tensile Strength abruptly decreased as uv exposure time increased and the mordanted samples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the unmordanted. FT-IR analysis confirmed that main peaks at 3297 and $1704cm^{-1}$ band for silk fabric were due to N-H and C=O stretching, gardenia peaks at 1654 and $668cm^{-1}$ band representing C=O(ester), C=C(alken) and O-C=O(carboxylic acids) of crocin and sappanwood peaks at $1715cm^{-1}$ band representing C=O(cyclic keton) of brazilin appeared on the samples exposed for 14 days, but these peaks indicating colorants after 28 days of uv exposure faded away due to prolonged exposure of uv.

견직물 시료에 치자, 소목 염색을 행한 후, 자외선에 0일, 14일, 21일, 28일 조사 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시료들의 염착량, 색채 변화, 형태 변화, 인장강도 그리고 화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염재의 종류와 매염 여부와 관계없이 자외선 조사 초기 14일 동안에는 염착량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그 후에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명반 매염을 한 경우 염착량 감소가 더 적었으며 소목이 치자보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외선 조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L^*,\;a^*,\;b^*$, H V/C, ${\Delta}E$ 등은 급격한 변화와 퇴색경향을 보였으며 명반 매염제가 자외선에 의한 탈색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자보다 소목의 ${\Delta}E$값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염착량 변화의 결과와 일치하며 소목이 치자보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염색 견직물 시료들 모두 자외선 조사 시간 경과에서, 초기에는 섬유 표면의 피브릴 분리현상을 보였으며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섬유 표면이 더 깊고 두껍게 박리되어 손상이 심해졌으나 SEM 측정에서는 두 염료의 매염제 처리 유, 무의 차이는 발견하기가 힘들었다. 4. 자외선 조사에 따라 인장강도는 자외선 조사 14일 이후부터 감소되어 인장강도 감소율은 대략 5-20%의 유지율을 나타내었으며 매염 처리 시료의 인장강도 감소율이 더 낮았다. 5. FT-IR 분석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치자와 소목 주 피크들은 사라지고 견섬유의 주 피크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민수, 전동원, 최인려, 김종준. (2004). 소목 천연 염색에 관한 연구 I. 복식문화연구, 12(5),781-791
  2. 김성현, 서윤종 (2004) 천연염색. 서울: 한출판
  3. 김월순, 최인려. (2004). 천연염재의 자외선 차단성능 연구. 복식문화연구, 12(1), 1-11
  4. 대한민국 문화체육부 (1996). 박물관내 전시 및 수장 유울의 보존환경 기준 연구. 서울: 대한민국 문화체육부
  5. 박성실, 안춘순, 채옥자 (2004). 출토 복식 유물에 대한 훈증 소독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5), 668-677
  6. 박희현, 안춘순. (1999). 단양 현곡리 출토 고려시대 섬유류 및 지류 유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8), 1161-1169
  7. 배상경 (1991) 빛에 의한 견직물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논문집, 9, 373-383
  8. 배상경. (1992). 만인산(萬人傘)의 보존처리 및 연구고찰. 論文集: 10, 213-228
  9. 배상경 (1993) 죽산 박신용 장국 의대 및 동래 정씨 의복에 실시한 보존 처리. 지역사회개발 5, 129-148
  10. 배상경 (1997a). 경기도 박물관 소장 흥곡 공파 동래 정씨 광경의 배위 여홍 민씨 출토 유의에 관한 보존 처리 연구I. 論文集,15, 217-226
  11. 배상경. (1997b). 경기도 박물관 소장 흥곡 공파 동래 정씨 광경의 배위 여흥 민씨 출토 유의에 관한 연구 II. 지역사회개발 9, 217-228
  12. 배상경. (1999). 장기정씨묘 출토복식에 대한 보존처리. 복식 47.89-100
  13. 배순화. (1999). 출토직물 보존에 관한 과학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안춘순, 조한국, 김정완 (1996). 화성 구포리 출토복식의 섬유 외 물질 분석에 관한 소고. 한국복식 14, 27-48
  15. 안춘순. (1998). 미국 세입 토루의 직물유물 중 인피 섬유에서 관찰되는 형태학적 손상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679-690
  16. 안춘순. (1999) 복식 유물 연구에 있어서 분광화학 분석의 활용. 복식: 49, 49-63
  17. 안춘순. (2003). 마포 밀창군 묘 출토 복식 유물의 섬유 외 물질의 추출 분석. 복식문화연구, 11(6), 902-912
  18. 안춘순, 조한국. (1998a).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 정씨 유물의 섬유 외 성분에 관한 분석. 한국복식 16, 13-29
  19. 안춘순, 조한국. (1998b). 파주 금풍리 출토 복식의 섬유 외 성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772-780
  20. 이미식, 배순화, 박명자, 이연희 (1999) 김흠조 분묘 출토 직물의 보존 처리를 위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3(6), 809-819
  21. 이미식, 배순화. (1997). 직물류 유물의 전시 및 보관 환경 실태조사. 복식, 34, 109-120
  22. 이미식, 배순화 (1999) 출토 직물의 과학적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7), 987-997
  23. Ballard, M. (1987). Is fumigation possibl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6, 83-86 https://doi.org/10.1016/0260-4779(87)90063-X
  24. Ballard, M. (1989). Historic silk flags from Harrisburg. American Chemical Society, 134-142
  25. Ballard, M. (1990). Pest control for temperate. Working Group, 11(25), 817-820
  26. Ballard, M. (1992). Latex misuse on historic carpets and textiles. American Chemical Society, 33(2), 664-665
  27. Ballard, M. (1993). Residues of surfactant on silk. Working Group, 2(9),327-329
  28. Ballard, M. (1994).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pigment. Textile Conservation group printing, 11-43
  29. Ballard, M. (1996). Hanging out: Some physical properties of textile fibers. Working Group, II, 665-669
  30. Lahanier, C. (1986). Study and conservation of museum objects.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14, 1-9
  31. Meeting report. (1999). On microbes and art. Environmental Microbiology, I(6),55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