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M 특성요인이 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관여도와 공익연계 메시지 표현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Category and Message Type on CRM (Cause-Related Marketing) and Brand Attitude

  • 서현석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
  • 이종만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대학원) ;
  • 나윤규 (중앙대학교 의류학과)
  • Suh, Hyunsuk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 Lee, Jong-man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 Na, Youn-kue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투고 : 2007.02.13
  • 심사 : 2007.05.28
  • 발행 : 2007.07.31

초록

공익연계 마케팅 (cause-related marketing or CRM)은 기업과 제품의 이미지 향상이나 브랜드의 정신적·윤리적 가치를 구축하는 강력한 하나의 수단으로 점점 더 그 활용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익연계 마케팅 활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공익의 특성, 제품의 관여도, 그리고 메시지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연구문제를 정선해보았다. 공익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어떻게 다른가? 공익연계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어떻게 다른가? 마지막으로 제품의 관여도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어떻게 다른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중심으로 공익의 특성, 제품 관여도, 공익 메시지 표현유형, 그리고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간의 인과관계들을 나타내는 모델을 세우고 연구를 수행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20~40세의 직장인들과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이중 유요한 176부의 회수된 설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연구모델 및 가설들이 잘 증명되었으나, 연구대상들은 공익의 특성의 차이점에 대해 인식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아직까지는 공익의 특성에 대한 차별적 인식보다는, 공익 그 자체에 대해 포괄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뒷받침 한다.

The "cause-related marketing (CRM)," generally defined as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 and a non-profit relationship or a social cause, which is perhaps the most progressive outgrowth of marketing trend. This paper contributes to, and looks at the practical issues of CRM and its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of the customer. To do so, following three broad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addressed. Which cause-related orientation is effective on customer's attitude of the brand? Which type of cause-related message provides crucial impact on customer's attitude of the brand? How product category acts upon and brings about different consequences on CRM? To address these questions, a causal model has been developed incorporating message type, product relevance, social significance, and brand attitude. The study model was tested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400 career professionals and students in Seoul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e 176 valid on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iderably supported the conceptual model.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study population was not able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CRM strategies but tend to conceptualize them as a who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