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ABEEK Accreditation Assessment Draft Statement in 2006

2006년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평가 예비논평서 분석 연구

  • Kang, So-Yeon (Center for the Innov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Yonsei University) ;
  • Kim, Mee-Kyoung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young-Lang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Choi, Keum-Jin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강소연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김미경 (서울대학교 공학교육연구센터) ;
  • 김명랑 (고려대학교 공학교육연구센터) ;
  • 최금진 (건국대학교 공학교육연구센터)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ough accreditation demands considerable ongoing effort on the part of the college, about 10 percent of Korean engineering colleges has been accredited for 5years by ABEEK. It is true that engineering accreditation contributed the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to improve. Many engineering colleges which had prepared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developed the integrating system for the engineering education, and over 50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centers which assisted to programs in accreditation were founded. Also the faculty commitment to quality programs and excellence in teaching, continuous counseling for students, portfolio guiding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CQI) etc. were performed for accreditation preparation. The engineering colleges preparing accreditation has made efforts for satisfying accreditation criteria, but it is difficult of modifying education systems which have been maintained by now. In addition, engineering colleges need guideline how to satisfy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raft statement of 4 universities which were evaluated in 2006 and to suggest the minimal resources for engineering colleges to prepare accreditation.

1999년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창립된 이래 2001년 2개 대학의 인증 평가 실시 이후 2005년 현재 전국공과대학의 10%가 인증 평가가 이루어졌다. 인증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공과대학들의 교육적 노력들을 통해 공학교육인증제도가 한국공학교육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인증을 준비하는 많은 대학들은 공학교육개선을 위한 통합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50개 이상의 공학교육센터들이 만들어졌다. 또한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상담과 관찰, 포트폴리오 지도, CQI 등을 통해 공학교육이 개선되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인증을 준비하는 대학들이 공인원의 인증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유지되어 오던 교육시스템을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해마다 공인원의 평가기준이 엄격해 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준비하는 학교들은 각 기준을 만족하는 수준과 주요 요소들에 대해 분명한 가이드라인을 알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6년 인증평가를 받은 4개 종합대학의 예비논평서 분석을 통해 공인원의 인증평가 기준의 주요 요소와 수준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인증을 준비하는 대학들이 최소한 준비해야 할 내용들을 제시하며 공인원이 각 대학에 제시해 주어야 할 요소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건국대학교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평가 예비논평서
  2.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고려대학교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평가 여l비논평서
  3. (사)한국공학교육연증원(2006). 공학인증기준 2000(KEC 2000)
  4.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서울대학교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평가 예비논평서
  5.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연세대학교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평가 예비논평서
  6.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컴퓨터 정보기술인증기준(CAC)
  7. (사)한국공학교육연증원(2006)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규정
  8.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2006년도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평가위원 워크숍 (EAC) 자료
  9.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2006년도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평가위원 워크숍 (CAC)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