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s of the EBSi

EBSi 이용 현황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Received : 2006.07.05
  • Accepted : 2007.02.13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EBS lecture program for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NSAE) that started from April 1, 2004. To this end, it obtained and analyzed related data which are archived in the EBS NSAE lecture system under the assistance from EBS. More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practices of lecturer placement and student members. Also, the practices of use of lectures were analyzed by years, and the economical value from the use of the EBS NSAE lecture program was estima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tuitions for private online institutes. In addition, this study diagnosed the properness in counselor place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use of the web forum, and analyzed the practices of the nonsul (essay-type examination)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coping strategies of EBS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for 2008 university entranc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ways to improve the EBS NSAE lecture program.

본 연구에서는 2004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EBS 수능 강의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EBS의 협조를 얻어 EBS 수능 강의 시스템에 실제로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즉, 강좌 개설 현황이나 강사 배치 현황, 회원 현황 등을 분석하였고, 강좌 이용 현황을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사설 온라인 학원의 수강료와 비교하여 EBS 수능 강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였다. 아울러, 게시판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상담원 배치의 적절성을 진단하였으며, 2008년 새 대입제도 도입에 따른 EBS의 대응 방안을 진단하기 위해 논술 이용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EBS 수능 강의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