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t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 Identified by Terrain Analyses

한반도의 지반운동 ( I ):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In order to explain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s and its causes. Even though geomorphological elements which might have been formed by tectonic movements(e.g. tilted overall landform, erosion surface, river terrace, marine terraces, etc.)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main geomorphological research topics in Korea, the knowledg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 is still limited.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ectonic movement via sequential analyses of Digital Elevation Model(DEM). This paper first developed a set of terrain analysis techniques derived from theoretic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tectonic uplifts and landsurface denudation processes. The terrain analyses used in this research assume that elevations along major drainage basin divides might preserve original landsurfaces(psuedo-landsuface) that were formed by tectonic movement with relatively little influence by denudation processes. Psuedo-landsurfaces derived from a DEM show clea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ith distinct directional alignments. Lines connecting psuedo-landsufaces in a certain direction are defined as psuedo-landsurface axes, which are again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first is uplift psuedo-landsurface axes that indicate the axis of landmass uplift; and the second is denudational psuedo-landsurface axes that cross step-shaped pusedo-landsurfaces formed via surface denudation. In total, 13 axes of pusedo-landsurface are identified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show distinct direction, length, and relative uplift rate. Judging from the distribution of psudo-landsurfaces and their axes, it is concluded that the Korean Peninsula ran be divided into four tectonic regions, which are named as the Northern Tectonic Region, Center Tectonic Region, Southern Tectonic Region, and East Sea Tectonic Region, respectively. The Northern Tectonic Region had experienced a regional uplift centered at the Kaema plateau, and the rate of uplift gradually decreased toward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directions. The Center Tectonic Region shows an arch-shaped uplift. Its uplift rate is the highest along the East Sea and the rate decreases towards the Yellow sea. The Southern Tectonic Region shows an asymmetric uplift centered a line connecting Dukyu and Jiri Mountains in the middle of the region. The eastern side of the Southern Regions shows higher uplift rate than that of the western side. The East Sea Tectonic Region includes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peninsula and Gilju-Myeongchun Jigudae, which shows relatively recent tectonic movements in Korea. Since this research visualizes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long-term ten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would provide valuable basic information on long-term and regional differences of geomorphological evolutionary processes and regional geomorphological differences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반도가 경험해온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와 그 원인을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리학계에서는 지난 반세기 동안, 지반운동과 관련된 각종 지형요소들(경동성지형, 침식면, 평탄면, 하안단구, 해안단구 등)을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한반도의 지반운동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 연구는 수치고도모델(Digital Elevation Model)의 분석을 통해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반운동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지반운동과 지표삭박작용간의 상관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한 뒤, 과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면을 추출하는 일련의 지형분석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유역분수계의 고도가 삭박이 이루어지기 전의 지형특성을 지시해주는 증거로 가정한 뒤, DEM으로부터 과거의 지형면(준지형면)들을 추출하는 것이었다. DEM으로부터 추출된 준지형면들은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정한 방향성을 보여준다. 준지형면들을 서로 연결한 한 선을 이 연구에서는 준지형면축으로 규정하였다. 준지형면축은 다시 지반운동의 융기축을 지시해주는 융기준지형면축과, 융기와 더불어 진행되는 삭박작용에 의해 계단상의 준지형면이 관찰되는 침식준지형면축으로 구분하였다. 한반도에서는 모두 13개의 준지형면축이 나타나며, 이들의 방향성과 길이, 그리고 상대적인 융기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준지형면의 분포와 준지형면축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한반도를 구성하는 4개의 지반운동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을 각각 북부지반운동구, 중부지반운동구, 남부지반운동구, 그리고 동해안지반운동구로 명명하였다. 북부지반운동구는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지역적인 융기를 경험하였으며, 서쪽과 동쪽, 그리고 남쪽방향으로는 점진적인 융기량의 감소를 보인다. 중부지반운동구는 동해에 면한 태백산축이 원호형으로 급격한 융기를 보인 반면, 서해안쪽으로는 점진적인 융기량의 감소를 보여준다. 남부지반운동구는 이 지역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덕유산-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융기축을 중심으로 서측보다는 동측의 융기량이 높은 비대칭적 지반운동의 특성을 보여준다. 남동부해안지역과 길주-명천지구대를 중심으로는 비교적 최근까지도 활발한 지반운동을 보이는 동해안지반운동구가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가 경험해왔던 지반운동의 공간적 차이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한반도의 장기적인 지형발달과 지역적인 지형특색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리원, 1982, 한국지지: 총론편, 국립지리원
  2. 권혁재, 2000, '한국의 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89- 400
  3. 권혁재, 2005, 지형학, 제4판, 법문사
  4. 김상호, 1977, '한국의 산맥론,' 자연보존, 19, 1-4
  5. 김상호, 1980, '한반도의 지형형성과 지형발달서설,' 지리학연구, 5, 1-15
  6. 김정락.림권묵.강진조.홍순익.오진권.홍욱근.박칠성.최태성, 1999, 조선의 산줄기, 과학기술출판사, 평양
  7. 김종욱, 1993, '지형학에서의 시간의 역할과 기능,' 지리교육논집, 30, 1-15
  8.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9. 박노식, 1967, '한강 하류지형면의 분류와 지형발달에 관한 연구: 양수리에서 능곡까지,' 경희대학교 논문집, 5, 118-168
  10. 박봉순, 1982, '한반도 지체구조의 특성,'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김옥준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155- 170
  11. 박수진, 2007, '한반도의 지반운동 (II): 지반운동구와 지질 다발지역의 상관관계,' 대한지리학회지(준비중)
  12. 박수진.손일, 2005a, '한국 산맥론(I) : DEM을 이용한 산맥의 확인과 현행 산맥도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 색,' 대한지리학회지, 40(1), 126-152
  13. 박수진.손일, 2005b, '한국 산맥론(II) : 산줄기지도의 제안,' 대한지리학회지, 40(3), 253-273
  14. 박수진.유근배, 2004, '지형학적 공간구조의 해석을 위한 DEM의 최적격자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1(3), 1-29
  15. 손일, 2000, '자연지리학,' 제29차 세계지리학대회 조직위원회(편), 한국의 지리학과 지리학자, 한울아카데미, 107-168
  16. 송언근.조화룡, 1989, '한국에 있어서 감입곡류하천의 분포특성,' 제4기학회지, 3, 17-34
  17. 오건환.최성길, 2001, '한국의 해안단구,' 박용안.공우석 (편), 한국의 제4기환경, 서울대 출판부, 159-191
  18. 오경섭, 1996, '한국지형학의 50년 회고와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1(2), 106-127
  19. 이민부, 2005, '교과서에 수록된 산맥도의 비교평가,' 지역 지리학회 2005년 동계학술대회 발표문
  20. 장호.박희두, 2001, '한국의 하안단구,' 박용안.공우석 (편), 한국의 제4기환경, 서울대 출판부, 193-236
  21. 전명순.최위찬.박근필, 1993, 한반도와 그 주변의 Neo- Tectonic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22. 조화룡, 1982, '지형,' 한국지지-총론, 건설부 국립지리원, 160-165
  23. 조화룡, 2003, '산경표 산맥체계로는 우리나라 지체구조를 설명할 수 없다,' 한국지형학회지, 10, 107-109
  24. 지헌철, 2005, '신속한 지진피해평가시스템 구축,' 국토, 285, 25-39
  25. 최범영.전명순.전정수.류충렬.이병주.안기오, 2003, '지구조 계통 토론 및 종합,' 최범영 외(편), 한반도 지구조 진화연구-후기중생대 . 신생대 지구조 진화사(3), 한국지질자원연구소, 257-271
  26. 홍순익, 1989, 조선자연지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평양
  27. 立岩巖, 1976, 朝鮮-日本列島地帶脂質構造論考: 朝鮮脂質 調査硏究史東京大學出版會, 東京(양승영(역), 1996, 韓半島地質學의 初期硏究史-朝鮮日本列島 地帶地質構造論考, 경북대학교 출판부)
  28. Burbank, D.W. and Anderson, R.S., 2001, Tectonic Geomorphology, Blackwell Science
  29. Chorley, R. J., Schumm, S. A., and Sugden, D. E., 1984, Geomorphology, Methuen & Co. Ltd., London
  30. Carson, M.A. and Kirkby, M.J., 1972, Hillslope Forms and Proces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Conacher, A.J. and Darlymple, J.B., 1977, The nine unit landsurface model: An approach pedogeomorphic research, Geoderma, 18, 1-154 https://doi.org/10.1016/0016-7061(77)90078-7
  32. Conrad, O., 1998, DiGem-Software for Digital Elevation Model, Ph.D. Thesis(in German), University of Goettingen, Germany
  33. Hack, J.T., 1960, Interpretation of erosional topography in humid temperate region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58A, 80-97
  34. Hutchinson, M.F. and Dowling, T.I., 1991, A continental hydrological assessment of a new grid-based digital elevation model of Australia, Hydrological Processes, 5, 45-58 https://doi.org/10.1002/hyp.3360050105
  35. Kooi, H. and Beaumont, C., 1996, Large-scale geomorphology: classical concepts reconciled and integrated with comtemporary ideas via a surface processes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1, 3361-3381 https://doi.org/10.1029/95JB01861
  36. Martin, Y. and Church, M., 2004, Numerical modelling of landscape evolution: Geomorphological perspective,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8(3), 317-339 https://doi.org/10.1191/0309133304pp412ra
  37. Molnar, P., 2003, Nature, nurture, and landscape, Nature, 426, 612-615 https://doi.org/10.1038/426612a
  38. Moore, I.D., Turner, A.K., Wilson, J.P., Jenson, S.K. and Band, L.E., 1993, GIS and land surfacesubsurface modeling, in Goodchild, M.F., Parks, B.O., and Steyaert, L.T. (eds.), Environmental Modeling with GI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6-230
  39. Tarboton, D.G.,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33, 309-319 https://doi.org/10.1029/96WR03137
  40. Thorn, C.E.(ed.), 1982, Space and Time in Geomorphology, Allen & Unwin, London